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엥겔계수는 3년 연속 하락

소득수준이 높아지고 문화생활 지출 등이 늘어남에 따라 국내 엥겔계수가 3년 연속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엥겔계수란 가계의 총지출액에서 차지하는 식료품비의 비중으로 소득수준이 높아지면 하락하고 살림이 어려워지면 올라간다. 19일 통계청에 따르면 올해 3ㆍ4분기 2인 이상 도시근로자 가구의 월평균 소비지출 중 식료품비의 비중(엥겔계수)은 25.9%로 전년 동기 26.5%에 비해 0.6%포인트 떨어졌다. 3ㆍ4분기를 기준으로 한 도시근로자 가구의 엥겔계수는 지난 2003년 27.9%에서 2004년 28.5%로 상승했다가 2005년 27.2%, 2006년 26.5% 등 3년 연속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다만 통계청의 식료품비에는 외식비와 주류 등이 포함되기 때문에 일반적인 엥겔계수와는 차이가 있다. 소득 5분위별 엥겔계수는 3ㆍ4분기 기준으로 하위 20%인 1분위가 30.4%, 상위 20%인 5분위는 22.6%로 집계돼 저소득 가계일수록 식료품비가 차지하는 비율이 확연하게 높게 나타났다. 이처럼 엥겔계수가 하락하는 것은 소득수준이 높아져도 식료품은 일정 수준 이상 소비할 필요가 없는 반면 문화생활 등에 대한 지출은 확대되기 때문이다. 올 3ㆍ4분기 도시근로자 가구의 월평균 소득은 373만8,000원으로 2003년 3ㆍ4분기(301만9,000원) 대비 23.8% 늘어난 반면 월평균 식료품비 지출은 2003년 54만3,000원에서 61만8,000원으로 4년 동안 13.7% 늘어나는 데 그쳤다. 이 기간 품목별 지출 증가율은 가구ㆍ집기ㆍ가사용품(42.5%), 교양오락(31.6%), 보건의료(30.2%), 주거(28.5%), 교육(27.9%), 교통ㆍ통신(24.3%) 등의 순이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