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내칼럼

[기자의 눈] 코스닥시장의 건강지수

지난해 12월24일 정부가 내놓은 코스닥ㆍ벤처 활성화대책은 증시 활황의 불씨가 됐다. 성장 벤처가 주식시장에 쉽게 들어올 수 있도록 관문을 넓히고 코스닥 일일가격제한폭을 확대하는 등의 조치는 얼어붙은 투자심리를 녹이는 계기가 됐다. 그로부터 1년이 지난 현재 주식시장의 성장세는 눈부시다. 코스닥시장만 보면 지수는 당시 370포인트에서 현재 720포인트선으로 94% 이상 증가했으며 시가총액도 30조7,500억원에서 71조2,000억원선으로 2배 이상 증가했다. 지난해 연말 증권사들이 올해 코스닥지수를 넉넉잡아 최대 480~500포인트선까지 갈 것으로 예상했던 점을 상기해보면 괄목할 만한 성장인 셈이다. 하지만 부쩍 성장한 코스닥시장 내부의 ‘건강 정도’를 살펴보면 그 수치들은 그다지 만족스럽지 못하다. 신뢰를 받아야 할 기업의 회계투명성은 벤처 1세대 대표 기업들의 잇따른 분식으로 크게 훼손됐으며 잦은 횡령 사건 등으로 투자자들의 불안감도 높아진 상태다. 더욱이 상장업체의 기본 의무인 공시업무조차 제대로 이뤄지지 않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다. 실제 코스닥시장에서만 불성실공시법인으로 지정된 상장사가 지난해 24개에서 올들어 12월 현재 90% 가까이 늘어난 45개에 달한다. 지수 성장 폭만큼 늘어난 셈이다. 최근 금융 당국 등 분식회계에 대한 경계의 눈초리는 온통 코스닥시장ㆍ벤처기업들로 집중되고 있다. 내년까지 감리면제기간을 두고 과거 분식 행위를 고백할 경우 제재조치를 대폭 경감해주겠다는 금융감독원의 회유의 목소리도 높아지고 있다. 일부에서는 12월 결산법인의 경우 내년 초 2005년도 사업보고서가 사실상 분식을 고백할 마지막 기회가 되는 만큼 내년 초 ‘고해성사’가 봇물을 이룰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하지만 내년에 잇따른 분식 고백으로 큰 홍역을 치른다 하더라도 회사를 개인 소유물 정도로 여기는 일부 경영자들의 행태가 지속되는 한 시장의 자정을 기대하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한 벤처업체의 관계자는 “회사 사정이 막다른 골목에 다다르게 되면 분식이 절대 노출되지 않을 것이라는 망상에 휩싸이게 된다”고 말했다. 경영 투명성은 코스닥시장이 한단계 더 업그레이드되기 위한 ‘건강지수’다. 과거의 오류를 수정하는 기회를 살리고 스스로 투명성을 높이는 경영자들의 노력이 지난 1년간의 시장을 되돌아보는 시점에서 더욱 절실해진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