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열병합발전등 에너지공급 방법 다양화 필요”

집단에너지정책 포럼


소형열병합발전 등 집단에너지공급 활성화를 위해서는 개별난방 같은 다른 에너지공급 방식과 다양한 조합을 통해 상호 연계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허 경 산업자원부 에너지관리과장은 지난달 31일 서울 논현동 임피리얼 팰리스 호텔서 열린 ‘집단에너지정책 포럼’에서 이 같은 내용의 ‘집단에너지산업의 향후 과제’를 주제로 강연했다. 허 과장은 집단에너지공급 방법의 다양한 변화가 필요하다며 이에 대해 기저설비로서의 열병합발전(CHP)과 개별난방의 조합 및 공적인 지역난방과 민간의 구역형 집단에너지사업(CES)의 조합 등을 제시했다. 그는 “CHP와 HOB(열전용 보일러)로 구성된 현재의 집단에너지공급 시스템에서 탈피, CHP에서 생산된 열을 기저열부하로 사용하고 나머지 부하는 HOB 대신 개별난방이 대체하는 시스템이나 또는 개별난방 공동주택에서 집단에너지를 희망하는 가구만 공급하는 방식 등이 보급될 필요가 있다”며 “이와 함께 지역난방과 CES와의 조합 방식으로 지역난방 공급지역을 일정 구역으로 나누고 기저는 지역난방이 나머지 부하는 각 구역마다 CES를 도입하여 해결하는 시스템을 연구해 달라”고 주문했다. 허 과장은 이와 함께 집단에너지산업의 향후 과제로 ▦에너지의 효율적 활용강화 ▦집단에너지 공급방법의 다양한 변화 ▦제도등 여건 조성 등을 정책방향으로 제시하고 관련 전문가들의 동의와 광범위한 연구를 요청했다. 한편 이번 포럼은 에너지경제연구원 주관으로 정부 및 업계ㆍ학계ㆍ정계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 20여명이 위원으로 참여, 향후 집단에너지 산업의 올바른 방향을 모색하는 자리로 이날 첫 행사가 열렸다. 참석자들은 집단에너지산업의 효과로 기존 발전 전용에 비해 약 30~40%의 에너지 이용효율을 증대할 수 있음은 물론, 분산형 전원구축과 여름철 가스냉방 수요 창출 등으로 시간별 계절별 수요관리에도 크게 기여함을 제시하며 집단에너지의 보급을 위해 업계 노력 및 제도적 보완이 필요함을 강조했다. 현재 국내 집단에너지 비중은 1차에너지소비 중 3.1%로 이중 지역난방이 24.1%, 산업단지가 75.9%를 차지하고 있다.

관련기사



최수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