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은행PB사업 수익성은 "아직"

5개銀 PB분야 자산대비 이익기여도 절반 수준

은행들이 경쟁적으로 프라이빗뱅킹(PB) 사업을 육성하고 있지만 아직 제대로 이익을 내지는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감독원이 28일 이승희 민주당 의원에게 제출한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지난 6월 말 현재 국민ㆍ신한ㆍ우리ㆍ기업ㆍ외환 등 5개 은행의 PB 관련 자산규모는 57조5,814억원으로 전체 자산의 18.1%를 차지한 반면 PB 관련 순익은 3,845억원으로 전체 순익의 9.3%에 그쳤다. PB 관련 자산이 전체 자산에서 차지하는 비중과 비교해보면 PB 분야의 이익기여도는 절반 수준에 불과하다는 얘기다. 반면 일반고객의 자산 비중은 전체의 71.9%지만 은행은 이 자산에서 90% 이상의 수익을 올렸다. 결국 은행이 돈 많은 고객보다 일반고객들로부터 더 많은 수익을 챙긴 셈이다. 국민 등 5개 은행을 기준으로 은행당 PB 고객 수는 8만4,727명, PB 고객 1인당 보유자산은 1억3,529만원, PB 고객 한 사람에게서 얻는 순이익은 90만원으로 집계됐다. 한 시중은행 PB팀장은 “부자고객들은 ‘은행 서비스는 무료고 비용은 무조건 깎아야 한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수익을 내기 어렵다”고 전했다. 은행들이 관리하는 PB 고객의 자산이 계속 증가하면서 순익도 큰 폭으로 늘어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5개 은행의 PB 고객 자산은 2005년 말 39조9,775억원에서 2006년 52조3,245억원으로 31% 늘어난 데 이어 올 6월 말 현재 57조5,814억원으로 올 들어 10%가량 증가했다. 순익도 2005년 4,930억원에서 2006년에는 6,614억원으로 34% 늘어났고 올 상반기에는 3,845억원을 기록했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지난해 토지보상금이 많이 풀리면서 고객 자산이 급증했다”며 “고객들이 금융자산의 비중을 늘리는 상황에서 은행이 고객의 자산관리 서비스에 대해 수수료를 받게 되면 PB 분야의 순익이 크게 늘어날 것”이라고 예상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