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KAL기 괌추락사고 새원인 밝혀져

최근사고기에 착륙장치에 결함발견 KAL사고와도 관련추정지난 97년 8월 228명의 목숨을 앗아간 괌 대한항공(KAL) 여객기 추락 사고와 관련해 미국연방교통안전위원회(UNTSB)의 기존 조사결과를 뒤집을 수도 있는 새로운 사실이 발견됐다. 뉴질랜드 항공당국은 해상으로 추락할 뻔 했던 에어뉴질랜드 소속 보잉 767 항공기를 조사한 결과 착륙장치의 결함을 발견, 이것이 괌 추락 KAL기를 비롯한 전세계항공기 사건 40건과 밀접한 관련이 있을 것으로 결론 냈다고 뉴질랜드 헤럴드 인터넷판이 6일 보도했다. UNTSB가 뉴질랜드 항공당국의 주장을 수용할 경우 그 동안 괌 추락 항공기의 사고 원인을 조종사 과실로 몰아붙인 UNTSB 조사 결과 등을 바탕으로 KAL측에 손해배상 판결을 내린 기존의 재판이 번복될 가능성이 매우 높아지게 됐다. 뉴질랜드 항공당국이 KAL 추락기 사고 원인을 유추할 수 있었던 것은 에어뉴질랜드 항공기가 지난 2000년 7월 공항 착륙 직전 사모아 바다로 추락할 뻔한 사고에 대한 원인을 최근 규명한데 따른 것이다. 국제민간항공기구(ICAO)는 뉴질랜드 항공당국으로부터 조사 결과를 보고 받고 곧바로 전세계 항공기와 공항, 항공관제소 등에 자동항법시스템의 결함 가능성을 경고했다. 에어 뉴질랜드와 민간항공당국은 최근 97년 괌 추락 KAL기에 대한 기존 조사 결과에 의문을 제기하며 미국연방교통안전위원회에 사고 원인을 재조사할 것을 제의했다. 이 위원회는 블랙박스 해독 등을 근거로 사고 항공기 기장이 ILS 시스템 고장사실을 알았음에도 불구, 이를 승무원에게 알리지 않은 것이 사고 원인일 가능성이 높다고 결론 냈다. 한편 서울지법은 지난 해 7월 괌 희생자 정(여)모씨 유족이 대한항공을 상대로 낸 손해배상 청구소송에서 "원고는 피고들에게 6억9,000여만원을 지급하라"며 원고 일부 승소판결을 내렸다. 재판부는 판결문에서 "사고기 기장이 활주로가 육안으로 확인되지 않은 상황에서 최저 강하 고도 경고음이 나온 뒤에도 계속 하강하면서 접근포기 등 조치를 취하지 못했고 부기장 등도 즉시 이 문제를 제기하지 않았다"며 조종사 과실 쪽으로 판시 했었다. /자카르타=연합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