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김병준 靑 정책실장 사의 배경

'총리 거론' 부담 때문인듯…개각때 교육부총리로 기용될수도

김병준 청와대 정책실장이 사의를 밝힌 것에 대해 청와대는 장기근무를 이유로 들었다. 지난 2002년 대선 당시 정책자문단장, 대통령직인수위 간사, 정부혁신분권위원장을 역임하는 등 참여정부 출범 전후로 노무현 대통령과 오랫동안 호흡을 맞춰왔다. 다음달이면 정책실장을 맡은 지도 2년이 된다. 그동안 수석급 이상 보좌진이나 장관이 2년가량 장기근무하면 교체하는 것이 참여정부의 관행이기도 했다. 김 실장의 사의는 표면적으로는 장기근무가 이유이지만 속내를 들여다보면 그가 유력한 총리 후보였다는 측면이 감안된 것으로 보인다. 노 대통령은 당시 김 실장을 총리로 기용하려다 야당의 반대로 인사청문회 벽을 넘지 못할 것이라는 부담감 때문에 한명숙 의원으로 방향을 전환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김 실장이 총리로 거론됐다는 것 때문에 장관급인 정책실장을 계속 맡는 것은 본인으로서는 부담이라는 시각이다. 김 실장은 이번에 청와대를 떠나도 어떤 형태로든 참여정부와의 인연을 계속 이어갈 것이라는 게 대체적인 관측이다. 청와대 안팎에서는 교육부총리로 기용될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있다. 5ㆍ31 지방선거 이후 현역 의원인 천정배 법무부 장관과 김진표 교육부 장관은 앞으로 정치 일정을 감안할 경우 정치권으로 컴백할 가능성이 높다. 청와대는 지방선거 이후 분위기 쇄신용 개각을 현재로서는 고려하지 않고 있다고 밝히지만 부분 개각수요가 발생할 가능성은 열어놓고 있다. 그러나 김 실장이 같은 부총리급인 재경부 장관으로 기용될 가능성은 그다지 크지 않아 보인다. 이런 측면에서 권오규 경제정책수석이 신임 정책실장으로 발탁되더라도 경제정책의 큰 흐름은 바뀌지 않을 것이라는 분석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