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강남 쓰레기소각장, 다른 구도 쓴다

서울시, 강남소각장 주민지원협의체 협약

다른 자치구 쓰레기를 받지 않았던 서울 강남의자원회수시설(쓰레기소각장)을 이웃 자치구들도 함께 이용할 수 있게 됐다. 서울시는 "올 연말께부터 강남 소각장의 여유 용량을 이웃 자치구에 개방하기로강남소각장 주민지원협의체와 협약을 체결했다"고 6일 밝혔다. 시는 대신 강남소각장의 간접영향권 주민들에게 난방비 지원 확대 등 각종 복리증진 인센티브를 제공할 방침이다. 서울에는 현재 양천.노원.강남.마포 4개 자치구에 쓰레기 소각장이 있으나 이가운데 6월 가동된 마포 소각장만 용산.중구와 고양시 덕양구가 함께 사용하고 있다. 나머지 강남.양천.노원 3개 소각장은 환경오염을 우려한 지역 주민과 자치구 등의 반대로 해당 자치구만 이용해 평균 가동률이 21%에 불과한 실정이다. 시는 앞으로 공동이용에 합의하는 소각장의 간접영향권 주민에 대한 난방비 지원을 50%에서 70%로 확대하는 한편 아파트 관리비, 임대아파트 임대료, 주거환경 개선사업비 등을 추가 지원하기로 방침을 정하고 해당 자치구 주민지원협의체와 협의중이다. 시는 이 같은 주민 지원 방안을 담은 조례 개정안을 이달중 시의회에 상정할 예정이다. 한상렬 시 청소과장은 "소각장을 공동 이용하면 평균 가동률 21% 미만인 소각장을 안정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면서 "아울러 2022년께 매립 종료 예정인 수도권매립지의 수명도 연장돼 장기적으로 폐기물 처리의 안정적 기반이 구축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1991년 쓰레기 소각 정책 도입 이후 지지부진했던 소각장 공동이용의 물꼬를 틀 수 있는 모범적 선례가 이번에 마련됐다"며 "다른 소각장 주민지원협의체도공동이용 협상에 적극 나설 것으로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서울=연합뉴스) 정성호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