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경제·마켓

"화폐개혁 파고 잠재우자"...칼 빼든 인도 중앙은행

"인플레·은행 과잉유동성 억제"

급증한 예금 2주간 예치 조치

지난 25일(현지시간) 인도 서북부 암리차르의 한 은행에서 직원이 유통이 금지된 고액 화폐의 교환을 요청하는 손님들에게 돈을 내어주고 있다. /암리차르=AFP연합뉴스지난 25일(현지시간) 인도 서북부 암리차르의 한 은행에서 직원이 유통이 금지된 고액 화폐의 교환을 요청하는 손님들에게 돈을 내어주고 있다. /암리차르=AFP연합뉴스




인도 중앙은행(RBI)이 지난 8일 발표된 기존 고액권 화폐의 유통금지 조치에 따른 인플레이션 우려와 은행 시스템의 초과 유동성을 억제하기 위해 칼을 빼 들었다.

블룸버그통신은 RBI가 시중은행을 비롯한 대출기관에서 눈에 띄게 높아진 초과 유동성을 흡수하기 위해 9월16일부터 11월11일 사이에 증가한 예금의 지급준비율(CRR)에 해당하는 현금 전액을 RBI에 예치하도록 조치했다고 26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이는 유통 중단된 기존 고액화폐(500·1,000루피)가 금융기관으로 대거 몰리며 채권금리가 급락하고 물가가 가파르게 상승하자 이를 진정시키려는 조치로 오는 12월9일까지 2주간 한시적으로 시행된다. RBI 측은 이번 조치에도 불구하고 은행 총예금에 대한 지준율을 기존의 4%를 유지한다고 밝혔다.


RBI는 시중 통화량 조절을 위해 지준율을 간접적으로 활용한 것으로 보인다. 이날 발표한 성명에서 RBI는 “초과 유동성의 규모는 앞으로도 계속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며 “(시중은행들이) 통화창구 등을 통해 예금한 자금의 가치를 보장하는 보증제도를 별도로 부활시켰으며 이 조치는 시중은행들의 명령 준수를 촉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통신은 9일을 기점으로 유통이 중단된 기존 고액화폐가 은행이나 우체국 등 금융기관으로 예치된 규모는 지금까지 5조1,000억루피(약 87조원)에 달한다고 전했다. 인도 이코노믹타임스 등 현지 언론은 11월11일 현재 시중은행의 총예금이 101조루피(약 1,736조원)에 달해 통상 수준을 웃돌았다고 보도하기도 했다.

이렇듯 시중은행에 쌓아둔 돈이 빠르게 불어나면서 10년 만기 인도 국채 금리는 이달 들어 0.56%포인트 떨어졌으며 지난주에만도 0.20%포인트나 하락했다. 월간으로는 2009년 4월 이후 가장 큰 폭의 하락률이다. 특히 신권 공급이 늦어지면서 회수된 구권 중 신권으로 바뀐 비율이 7%에 불과한데다 현금입출금기(ATM) 교체가 지연되는 등 준비부족이 겹치면서 인도 경제 성장률 후퇴 등 단기 유동성 위기가 초래될 상황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이수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