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북극발 한파에 난방수요 급등…이틀째 전력수요감축 발령

270만㎾ 규모 감축, 올겨울 들어 7번째

전력업계 "예비율 충분하다"

이번 주 불어닥친 매서운 한파로 인해 난방 수요가 급등하면서 이틀 연속으로 전력 수요감축요청(급전지시)이 발령됐다. /연합뉴스이번 주 불어닥친 매서운 한파로 인해 난방 수요가 급등하면서 이틀 연속으로 전력 수요감축요청(급전지시)이 발령됐다. /연합뉴스


이번 주 불어닥친 매서운 한파로 인해 난방 수요가 급격하게 몰리면서 이틀 연속으로 전력 수요감축요청(급전지시)이 발령됐다.

전력거래소는 25일 이날 오전 9시부터 오전 11시30분까지 수요자원(DR, Demand Response) 시장 제도에 참여한 기업을 대상으로 전력 사용을 줄여달라고 요청했다고 밝혔다. DR시장에 참여한 기업은 전력사용 감축 등을 통해 아낀 전기를 전력시장에 판매하고 금전으로 보상받을 수 있다. 수요감축요청이 발령되면 관련 기업들은 상황에 따라 가능한 업체 위주로 미리 계약한 범위 내에서 절전에 참여한다. 이 제도에 참여하고 있는 기업 수는 현재 3,580개에 달한다.

이는 전날에(오전 9시~오전11시30분)에 이어 이틀 연속으로 수요감축 요청이 발령된 것이다. 이는 올해 들어 이번달 11일, 12일, 24일에 이어 4번째로, 올겨울(지난해 12월부터)에만 7번째다. 지난해에는 7월 두 차례(12일, 21일), 12월 세 차례(13일, 14일, 20일) 등 5차례 수요감축요청이 이뤄졌다.


감축 전력 규모는 전날과 비슷한 270만㎾다. 1GW짜리 원전 3기를 돌려야 얻을 수 있는 전력량이다. 전력거래소는 오전 9시부터 오전11시30분(230만㎾, 2천363개 업체 참여), 오전10시~오전11시(40만㎾, 373개 업체 참여) 등 두 그룹으로 나눠 수요감축 요청을 내렸다. 전체적으로 2시간30분 동안 발령이 떨어진 가운데 전력 수요가 집중되는 오전 10시부터 1시간 동안에는 추가로 절전을 시행하는 것이다.

관련기사



전국 대부분 지역에 한파 특보가 발효된 가운데 오전 5시 서울의 체감온도는 영하 22.1도, 대관령의 체감온도는 영하 32.2도를 기록했다. 이에 따라 출근 시간인 오전 9시 전후로 순간 전력수요가 8,600만㎾를 넘어섰으나, 공급예비율은 14~15%로 안정적이다.

정부가 지난달 확정한 8차 전력수급 기본계획에서 전망한 올겨울 최대 전력은 8,520만㎾다. 지난 24일 기록된 8,628만㎾(예비율 14.2%)보다 100만㎾가량 적다. 일각에서 정부가 전력수요를 잘못 예측한 게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정부가 탈원전 정책의 근거를 마련하려고 일부러 전력수요를 낮게 잡았다는 비판도 제기된다.

이에 산업부는 “8차 계획의 수요전망은 7차 때와 동일한 모델을 바탕으로 권위 있는 전문기관의 GDP, 인구, 기온전망 등을 통해 예측됐다”며 “올해 겨울 최대전력수요 전망도 기상청의 평년기온(1981~2010년) 수준을 전제로 예측됐기 때문에, 탈원전 때문에 수요를 낮춰 전망했다는 주장은 사실과 다르다”고 밝혔다. 전력업계 관계자도 “기상이변에 가까울 정도로 기온이 떨어지는 가운데 정부 예측치와 실제 수요가 100만㎾정도 차이에 불과하다는 점은 오히려 전력 수요관리가 잘 이뤄졌다고 뒤집어 볼 수도 있을 것”이라며 “현재 원전 24기 가운데 11기가 정비 등으로 가동되지 않는 상황에서도 예비율은 넉넉한 편”이라고 말했다.

/김주환 인턴기자 jujuk@sedaily.com

김주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