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일본 고용시장 극과 극…화이트 칼라 업종선 '구직난'

건설·서비스 업종 등은 일손 부족

요미우리신문과 니혼게이자이신문은 31일 일본 정부가 전날 발표한 ‘2017년 고용통계’를 분석한 결과 서비스업과 건설업 등 업종에서는 일손 부족 현상이 심각한 반면, 사무직종에서는 일자리 부족 현상이 두드러지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보도했다. /Pixabay요미우리신문과 니혼게이자이신문은 31일 일본 정부가 전날 발표한 ‘2017년 고용통계’를 분석한 결과 서비스업과 건설업 등 업종에서는 일손 부족 현상이 심각한 반면, 사무직종에서는 일자리 부족 현상이 두드러지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보도했다. /Pixabay


저출산 고령화와 경기 회복세로 일본 산업 전반적으로 일손이 부족하지만 고용 시장에서는 이른바 블루칼라 업종과 화이트칼라 업종 간 차이가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요미우리신문과 니혼게이자이신문은 31일(현지시간) 일본 정부가 전날 발표한 ‘2017 고용통계’를 분석한 결과 서비스업과 건설업 등 업종에서는 일손 부족 현상이 심각한 반면, 사무직종에서는 일자리 부족 현상이 두드러지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보도했다.


‘구인배율’은 구직자 1명 대비 기업들의 구인자 수를 뜻한다. 일본에서 보안(경비원·공사현장 등의 교통 유도원) 직종의 구인배율은 7.23이나 됐고 건축·토목·측량기술 5.07배, 건설 4.01배, 접객 3.85배, 개호(노인 돌봄) 서비스 3.57배, 상품판매 2.26배 등으로 일손 부족이 심각했다. 반면 일반사무(0.35배), 회계사무(0.73배), 영업·판매 관련 사무(0.89배) 직종은 구인배율이 1을 넘지 못했다. 사무직종에 구직자들이 몰리면서 일손 부족과 구직난이 공존하는 상황이 된 것이다.

관련기사



요미우리는 “구인과 구직이 일치하지 않는 고용의 미스매치가 발생했다”며 “이 때문에 최근 수년간 구직자들이 통계가 보여주는 고용 개선을 실감하지 못하는 상황이 이어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니혼게이자이는 젊은이들의 대학 진학률이 높아 저임금의 직장이나 단순노동은 피하려는 경향이 강하다며 서비스나 개호 등 업종은 만성적인 구인난을 피하기 어려워 외국인 노동자로 이를 메울 수 밖에 없다고 전했다.

실제로 지난 26일 후생노동성이 발표한 외국인 노동자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10월 외국인 노동자 127만 9,000명 중 주로 단순 노동자들인 외국인기능실습생(25만7,000명)과 아르바이트를 하는 유학생이 대부분인 ‘자격외 활동’(29만7,000명)이 차지하는 비중은 43.3%나 됐다.

/박신영인턴기자 wtigre@sedaily.com

박신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