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98개월만에 만난 노사정, 대화 실타래 풀까

양대 노총 '속도전' 제안에

경영계 "일자리부터" 신중

31일 서울 종로구 노사정위원회 대회의실에서 열린 노사정대표자 회의에서 문성현(왼쪽부터) 노사정위원장, 박병원 한국경영자총협회장, 김명환 민주노총 위원장, 김주영 한국노총 위원장, 김영주 고용노동부 장관, 박용만 대한상의 회장이 손을 잡고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양대 노총이 모두 참석한 노사정 대표자회의는 8년 2개월 만으로 문재인 정부 들어서도 처음이다.  /송은석기자31일 서울 종로구 노사정위원회 대회의실에서 열린 노사정대표자 회의에서 문성현(왼쪽부터) 노사정위원장, 박병원 한국경영자총협회장, 김명환 민주노총 위원장, 김주영 한국노총 위원장, 김영주 고용노동부 장관, 박용만 대한상의 회장이 손을 잡고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양대 노총이 모두 참석한 노사정 대표자회의는 8년 2개월 만으로 문재인 정부 들어서도 처음이다. /송은석기자


양대 노총이 참여하는 노사정 대표자회의가 8년 2개월 만에 성사됐다. 하지만 여전히 해법 마련까지는 상당한 진통이 예상된다.

경제사회발전노사정위원회는 31일 서울 종로구 위원회 대회의실에서 노사정대표자회의를 열었다. 노동계의 김주영 한국노총 위원장, 김명환 민주노총 위원장과 경영계 박병원 한국경영자총협회 회장, 박용만 대한상공회의소 회장, 정부의 김영주 고용노동부 장관, 문성현 노사정위원장 등 6명이 한데 모여 사회적 대화기구 정상화를 논의하는 자리였다. 김 장관은 “어떤 결론을 내달라고 안건을 내놓지 않겠다”며 측면 지원에 집중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이날 회의에서 노사정 대표들은 사회적 대화 복원을 통해 양질의 일자리 창출, 사회 양극화 해소, 노동3권 보장, 4차 산업혁명과 저출산·고령화 등 시대적 과제를 시급히 해결해야 한다는 데 인식을 공유했다. 대표자회의는 앞으로 사회적 대화기구 개편 방안과 의제 선정, 업종별 협의회 설치·운영 등 사항을 논의하기로 했다.


양대 노총은 첫 만남에서 ‘속도전’을 당부했다. 김주영 위원장은 “운영기간을 50일로 한정해 오는 3월21일 목표로 논의시한을 정하자”고 제안했다. 김명환 위원장은 “대표자회의를 월 1회 이상 정례화해 집중적으로 논의하자”고 밝혔다.

관련기사



경영계는 사회적 대화 재개에 환영의 뜻을 표하면서도 신중한 반응을 보였다. 박병원 회장은 “노사정위든, (새로운) 사회적 대화기구가 됐든 일단 일자리 창출에 전력을 집중해야 한다”며 “우선 여기에 초점을 맞춰 성과를 내고 그다음에 다른 문제를 다뤄야 한다”고 말했다. 박용만 회장은 “기업을 대변해야 한다는 책임이 무겁게 짓누른다”며 “과거 노사정 대화에서 보람을 갖게 된 점도 있었지만 아쉬운 점도 많았다”고 전했다.

대표자들은 이날 회의 가동과 함께 부대표급 운영위원회 및 실무협의회 구성에 나섰다. 대표자회의는 필요에 따라 수시 개최하기로 했지만 시한이나 일정은 정하지 않았다. 문 위원장은 “2월 중 대표자회의가 한 차례 더 열릴 것”이라고 말했다.

양대 노총은 국회의 근로기준법 개정 시도를 비판하면서 탈퇴 가능성을 내비치기도 했다. 김주영 위원장은 “모처럼 열린 사회적 대화에 국회와 정부가 찬물을 끼얹는 일을 하지 말라”고 경고했다.

진동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