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설 연휴 안전거리 미확보 교통사고 급증…평소 3배

현대해상 교통연구소 "사고 유경험자일수록 앞차와 간격 짧아…앞에 차선 3개 보여야"

설맞이 교통사고 줄이기 캠페인/연합뉴스설맞이 교통사고 줄이기 캠페인/연합뉴스


설 연휴 안전거리 미확보로 인한 사고가 평상시보다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4일 현대해상교통기후환경연구소에 따르면 2011년부터 지난해까지 설 연휴에 발생한 후미추돌 사고는 모두 3,595건으로 전체 사고 11,821건의 30.4%를 차지했다. 설 연휴 고속도로에서 후미추돌 사고 주요 원인은 주시 태만(37.0%)과 안전거리 미확보(16.3%)였다. 특히 안전거리 미확보로 인한 사고 비중은 2월 평상시 5.3%에서 설 연휴 16.3%로 3배로 급증했다.


이수일 현대해상 교통기후환경연구소 박사는 “설 연휴 기간 급한 마음에 앞차에 바짝 붙여서 가는 운전자가 많은데, 앞차와 차선 3개 이상 간격을 유지하면서 안전운전을 하는 것이 나와 가족의 안전을 지키는 좋은 운전방법”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연구소가 차량에 첨단운전자지원시스템(ADAS)을 장착해 주행실험을 한 결과 사고를 낸 적이 있는 운전자는 무사고 운전자보다 앞차와 간격을 짧게 유지하며 운전하는 경향이 있다는 분석도 나왔다. 브레이크를 밟아서 앞차에 도달할 때까지 걸리는 시간(TTC·Time to Collision)이 2초 미만으로 경고를 받은 횟수가 사고 유경험자는 평균 3.8회인 반면 무사고 운전자는 0.4회에 그쳤다. 연구소가 한국도로공사에서 제공한 폐쇄회로(CC)TV 영상자료를 분석한 결과 주간에는 65.9%가, 야간에는 49.7%가 안전거리를 준수하지 않았다. 운전자 400명 대상으로 한 설문에서 운전자들은 ‘본인의 감’(38.8%)으로 차간 거리를 유지하거나 차간 거리를 유지하는 방법에 ‘일정 기준이 없다’(26.5%)고 답했다.

연구소는 고속도로에서 차선으로 앞차와의 거리를 계산하는 것이 편리하다고 충고했다. 아울러 설 연휴 전기자동차로 장거리를 운전할 땐 배터리 성능 저하를 고려해 평소보다 주행가능거리를 20% 짧게 잡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신영인턴기자 wtigre@sedaily.com

박신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