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혈압 낮을수록 자살 생각 더 많이 한다"

서울대 보건대학원 조성일 교수 연구팀

1만708명 분석 조사 결과 발표

혈압이 낮은 사람이 정상인 사람에 비해 자살 생각을 더 많이 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조성일 교수 연구팀은 2010∼2013년 국민건강영양조사의 건강검진자료를 바탕으로 19∼101세의 한국 성인 중 낮은 혈압 또는 정상 혈압을 가진 대상자 1만708명을 분석한 결과, 혈압이 낮을수록 자살 생각을 더 많이 한다는 결론이 나왔다고 12일 밝혔다.

수축기 혈압 100㎜Hg 미만의 낮은 혈압을 가진 사람일수록 자살 생각의 위험이 증가했으며, 낮은 혈압의 기준을 95, 90㎜Hg와 같이 낮출수록 자살 생각의 위험이 증가했다. 높은 혈압에서는 이러한 연관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연구팀은 연령, 성별, 가구소득, 교육수준, 흡연 등 여러 변수를 통제해 분석한 결과 낮은 혈압에서 정상 혈압군에 비해 자살 생각의 위험이 컸다고 설명했다. 자살 생각에 대한 위험을 비교하면 정상 혈압보다 100㎜Hg 미만은 24%, 95㎜Hg 미만은 43%, 90㎜Hg 미만은 74%가 증가했다.

관련기사



조 교수는 “‘혈압이 낮을수록 좋다’는 기존 인식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는 것”이라며 “혈압이 낮은 사람들이 호소하는 피로감, 우울감과 같은 신체·정신적 증상이 낮은 혈압과 관련돼 있을 가능성을 배제해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공중보건 분야 국제학술지(BMC Public Health)를 통해 최근 발표됐다.

백주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