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증권정보

【TOPIC】 차기 셀트리온은 누구...? 올해 주인공 TOP 10

- 미국 FOMC 회의까지 변동성 장세 이어지나

- 국민연금, 공매도 과열종목에 주식대여 중지


- 중국 관련주 급등… '지정학 리스크' 사라지나

☞ 【TOPIC】 차기 셀트리온은 누구...? 올해 주인공 TOP 10 (바로 확인)

코스피가 전날 외국인과 기관의 매도세에 닷새만에 하락했다. 간밤 미국 뉴욕증시는 무역전쟁 우려로 약세를 보였다.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 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248.91포인트(1.00%) 하락한 2만4758.12에 장을 마감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전장보다 15.83포인트(0.57%) 내린 2749.48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14.20포인트(0.19%) 낮은 7496.81에 거래를 마쳤다. 시장은 경제지표도 주목했다. 지난달 미국의 생산자물가는 소폭 상승하며 물가가 완만하게 상승하고 있음을 시사했다. 물가상승은 연방준비제도(연준ㆍFed)의 기준금리 인상 속도를 높이는 요인이 될 수 있다. 실제로 전문가들은 다음주 예정된 의 연방시장공개위원회(FOMC) 정례회의 결과를 주목하고 있다.


☞ 【테마주】강력한 급등 에너지를 응축하고 있는 "2018년 황제주"는 (클릭)

관련기사



2월 시간당 임금상승률이 1월보다 낮아지고 2월 소비자물가도 시장 기대치에 부합하는 것으로 나오면서 시장은 연준에 대한 경계감을 많이 늦춰놓은 것으로 보인다. 연준의 정책 스탠스를 볼 수 있는 2년물 금리는 2월말 이후 답보상태에 놓여있다. 그러나 연준은 올해 비둘기에서 매로의 변신을 어느 정도 끝낸 상태다.

매파적인 색깔은 크게 4가지 측면에서 나타날 수 있다. 첫째 성명서에서 경기전망에 대해 상방 리스크를 강조하는 형태이다. 1월 FOMC에서 경기전망의 상방 방 리스크가 모두 균형있게 열려있다고 한 것에서 한걸음 더 나아간 것이다. 둘째 경기 및 물가 그리고 중립금리 수준이 올라가면서 FOMC 위원들의 금리 전망을 나타내는 점도표도 한차례 상향 조정되는 형태다. 셋째 3월 FOMC 회의 이후 열리는 파월 의장의 첫 기자회견에서 나타날 수 있는 리스크다. 넷째 연준 투명성 강화 차원에서 그동안 분기말에만 진행했던 기자회견을 모든 회의 직후로 확대하는 방식이다.

☞ 남북 경협주 17개... 올해 45% 급등... 추천 테마주 TOP 10 (확인)

오늘의 관심 종목

NAVER(035420), 에스엠(041510), LG화학(051910), 엔시트론(101400), 한전기술(052690), 하나투어(039130)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