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주제별 과학개념 이해하고 탐구활동 과정 기록해둬야"

[올 고1부터 배우는 통합과학, 어떻게 공부해야 할까]

물질과 규칙성·환경 에너지 등 4개 대단원 구성

그림·사진자료 적극 활용해 원리·현상 파악해야

생소한 용어는 따로 용어집으로 정리해두면 도움

1615A30 통합과학구성




부산 사하구 대광발명고 학생들이 교사와 함께 실험하고 있다. 고등학교 1학년 ‘통합과학’이 신설되면서 활동 위주의 종합적 학습이 중요해졌다.  /연합뉴스부산 사하구 대광발명고 학생들이 교사와 함께 실험하고 있다. 고등학교 1학년 ‘통합과학’이 신설되면서 활동 위주의 종합적 학습이 중요해졌다. /연합뉴스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올해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부터 신설 과목인 ‘통합과학’을 배우게 된다. 통합과학은 창의융합형 인재 시대에 통합적 사고력을 함양하도록 신설된 과목이다. 일단 현재 고교 1학년 학생들이 치르게 될 2021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의 출제범위에서는 통합과학이 빠져 있다. 하지만 전국 고교 1학년 학생들은 필수적으로 이수해야 하는 과목인데다 내신 성적에 반영되는 만큼 소홀히 할 수 없다. 특히 대학 입시에서 학생부종합전형의 비중이 높아진 만큼 학생들의 적극적인 학습전략 수립이 필요하다.

◇‘통합과학’은 어떤 과목=통합과학은 크게 △물질과 규칙성 △시스템과 상호 작용 △변화와 다양성 △환경과 에너지라는 4개 대단원으로 이뤄져 있다. 각 대단원은 2~3개의 핵심 개념들(Big Idea)을 중심으로 관련 내용이 구성돼 있다.


‘물질과 규칙성’ 단원에서는 원소의 생성 과정과 이들 원소가 어떤 법칙으로 결합해 다양한 물질을 이루는지를 살펴 우주 물질의 생성·규칙을 배운다. ‘시스템과 상호 작용’은 역학적 시스템, 지구 시스템, 생명 시스템 학습을 통해 우리가 사는 세상의 역학적 시스템이 어떻게 작용하는지 살펴본다. 지구를 이루는 여러 요소와 그들 사이의 관계 및 상호 작용도 배운다. ‘변화와 다양성’은 지구의 역사를 환경과 생물 변화로 알아보고 지질시대의 환경과 생물, 진화와 자연 선택, 생물의 다양성 등을 학습하게 된다. ‘환경과 에너지’는 생물과 이를 둘러싼 자연환경이 어떻게 영향을 주고받으며 생태계를 이루는지 살펴보고 기후 변화, 에너지 전환과 보존, 발전과 신재생 에너지에 대해 다룬다.

신동미 좋은책신사고 중고등콘텐츠본부 이사는 “통합과학은 기존 교육과정보다 학생 참여와 탐구활동을 강조해 과학적 기초개념과 자연현상을 통합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개발됐다”며 “단순 암기가 아닌 원리와 현상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학습하는 것이 중요해졌다”고 설명했다.


◇학습전략, 어떻게 시작해야 할까=통합과학에서는 기본개념의 통합적 이해가 매우 중요해졌다. 다양한 현상을 과학적 시각으로 바라보면서 각각의 과학개념을 이해하고 개념들 사이의 관계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과학을 큰 흐름에서 이해한다는 생각으로 핵심개념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그림과 사진 같은 시각자료를 적극 활용해 개념을 깊이 있게 학습하면 도움이 된다.

관련기사



과거와 같은 단순 암기식 공부법은 상대적으로 효과가 작다. 통합과학에서는 암기보다 주제별 개념을 이해하는 학습법이 중요하다. 교과서뿐만 아니라 개념을 쉽게 풀이한 참고서를 활용해 개념과 용어 중심으로 학습하고 문제 풀이를 통한 개념이해 점검 과정을 거쳐야 한다. 과학은 과목 특성상 생소한 용어가 많기 때문에 별도의 용어집을 정리해놓으면 좋다.

통합과학은 탐구 중심 활동을 강조하고 있기 때문에 평소에 탐구 활동의 과정을 기록하고 결과를 스스로 정리하는 연습을 해두는 것이 좋다. 통합과학은 활동 과정에 대한 이해뿐 아니라 보고서 작성 등 종합적인 학습 과정을 요구하기 때문이다.

핵심개념을 이해하고 적용하는 습관도 중요하다. 통합과학 교과서에서는 다양한 생활 속 과학 현상을 예시와 함께 다룬다. 개념을 이해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스스로 실생활 속 과학적 사례를 관찰하고 조사해보는 것이다. 예를 들어 원소의 분류에 대한 활동으로 냉장고 속 물질을 몇 가지 택하고 각 물질이 어떤 원소로 이뤄져 있는지 조사하는 식이다. 또 신소재에 대한 활동으로 벨크로 테이프와 수중 접착제 등 자연을 모방한 신소재를 조사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좋은책신사고 관계자는 “통합적인 문제 해결 능력과 같이 통합과학에서 요구하는 역량은 단시간에 쌓을 수 없다”며 “평소부터 지속적으로 과학 현상을 관찰하고 과학적 사고를 하도록 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진동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