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사설]글로벌 헬스케어 앱이 한국선 만보기 신세라니

삼성전자의 헬스케어 애플리케이션인 삼성헬스가 최근 다운로드 5억회를 돌파했다. 2012년 5월 출시됐으니 6년 만에 거둔 성과다. 다운로드 1억회를 넘어서는 데 3년이 걸린 것을 보면 이 앱을 내려받는 소비자들이 급속히 늘고 있는 셈이다. 서비스 국가는 현재 190개국, 서비스언어도 70여개에 달한다. 이런 수치만이 아니라 제공 서비스를 보면 글로벌 건강관리 앱으로서 손색이 없다.


초기에 체중·혈압 ·혈당 등의 건강정보와 운동량을 기록하는 정도였다면 지금은 종합건강관리 서비스로 진화했다. 지난달에는 동영상으로 의사와 실시간 상담하는 ‘전문가 상담’ 서비스를 미국· 인도에 이어 영국에서도 선보였다. 최근에는 자신의 증상을 체크할 수 있는 인공지능(AI) 채팅 서비스인 ‘증상확인’ 기능도 미국에서 출시했다.

관련기사



이렇게 지구촌 곳곳에서 삼성헬스가 원격진료에 활용되지만 정작 국내에서는 규제에 발목이 잡혀 만보기 신세를 면치 못하고 있다. 과거 정부 때부터 기득권 단체와 이에 동조하는 일부 정치권의 반발로 번번이 좌절을 겪었기 때문이다. 현 정부에서도 문재인 대통령이 의료 분야 규제혁신을 역설했지만 나아질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 되레 보건복지부 장관이 원격의료 허용을 주장했다가 여당·시민단체의 반발로 철회하는 소동이 빚어졌으니 답답할 노릇이다.

삼성헬스처럼 정보통신기술(ICT)과 의료를 접목한 원격의료는 한국이 충분한 글로벌 경쟁력을 갖고 있다. 무엇보다 원격진료 등 의료산업은 대표적인 고부가가치 서비스 업종이자 고급 일자리를 많이 만들어낼 수 있는 분야다. 경총에 따르면 의료규제를 풀면 최대 37만개의 일자리가 생길 수 있다. 청와대·정부가 진정으로 일자리 창출과 혁신성장을 바란다면 원격의료에서 이익집단은 물론 지지층의 반대까지 정면돌파해야 한다. 마침 문재인 대통령은 6일 “신산업 육성과 일자리 창출을 가로막는 규제부터 과감히 혁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의료 분야 규제혁신 등을 위해 말이 아니라 행동으로 보여줘야 할 때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