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LG화학 1조2,000억 충전…中 난징 배터리 공장 증설

전기차·무선 가전기기 확산에

글로벌 수출 전초기지로 육성

난징 신장 개발구에 위치한 LG화학 전기차 배터리 1공장 전경. /사진제공=LG화학난징 신장 개발구에 위치한 LG화학 전기차 배터리 1공장 전경. /사진제공=LG화학




김종현(왼쪽 다섯번째) LG화학 전지사업본부장과 란샤오민(〃네번째) 난징 시장이 지난 9일 배터리 공장 투자계약 체결식을 마친 후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LG화학김종현(왼쪽 다섯번째) LG화학 전지사업본부장과 란샤오민(〃네번째) 난징 시장이 지난 9일 배터리 공장 투자계약 체결식을 마친 후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LG화학


LG화학(051910)이 중국 난징을 배터리 사업의 전초기지로 육성한다. 난징공장에 공격적인 투자를 단행해 전기차뿐만 아니라 무선 가전기기 배터리 시장에서도 시장을 선도하겠다는 전략이다.


LG화학은 난징공장에 1조2,000억원을 추가로 투자해 공장을 증설한다고 10일 밝혔다. 이와 관련 지난 9일 중국 난징 쉬안우호텔에서 난징시와 배터리 공장 투자 계약식을 체결했다. 이번 투자로 LG화학은 배터리 부문 규모의 경제를 확립하겠다는 복안이다.

관련기사



LG화학은 오는 2020년까지 난징 신장 경제개발구에 위치한 전기차 배터리 1공장과 소형 배터리 공장에 각각 6,000억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공장 증설 이후 LG화학은 전기차용 파우치 배터리를 비롯해 LEV(전기자전거·전기스쿠터 등), 전동공구, 무선청소기 등에 사용되는 원통형 배터리의 급속한 수요 증가에 대응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파우치형 배터리는 알루미늄 필름 용기로 만들어 비교적 가벼우며 차량 디자인에 맞게 다양한 형태로 만들 수 있다는 장점 때문에 미국과 유럽에서 생산되는 전기차에서 채택하고 있다. 국내 업체 중에서는 LG화학 외에도 SK이노베이션이 생산하고 있으며 파라시스(FARASIS)를 비롯한 중국 전기차 배터리 업체들 또한 파우치형 채택이 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원통형 배터리의 경우 시장조사업체인 B3 조사 결과에 따르면 전기차와 무선 가전기기의 확산으로 지난 2015년 23억개 수준에서 연평균 27%씩 성장해 올해에는 60억개까지 수요가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김종현 LG화학 전지사업본부장(사장)은 “이번 증설을 통해 전기차뿐만 아니라 LEV·전동공구 등 새롭게 부상하고 있는 분야에서도 세계 시장을 선도해나갈 것”이라며 “난징에 위치한 세 개의 배터리 공장을 아시아 및 세계 수출기지로 적극 육성해나가겠다”고 말했다.

LG화학은 난징 신장 경제개발구에 자리한 배터리 공장 외에도 난징 빈장 경제개발구에 2조1,000억원을 들여 전기차 배터리 2공장을 올 연말까지 건설한다는 방침이다. 이를 통해 2020년에는 LG화학의 전기차 배터리 생산량이 연간 기준 110기가와트시(GWh)까지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업계에서는 LG화학이 지난해 4·4분기 전기차 배터리 부문에서 흑자전환했을 것이라는 관측을 내놓는 등 전기차 배터리가 LG그룹의 차세대 먹거리로 확실히 자리 잡는 모습이다.

양철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