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정부, 수소충전소 운영비 절반 지원 검토

美·獨·日도 60% 이상 보조

산업부, 조만간 로드맵 발표

정부가 민간 사업자의 수소충전소 운영비 지원을 검토한다. 미국과 일본 등 선진국에선 운영비 60% 이상을 지원하고 있지만 국내에서는 설치비에 한해 보조금을 지급한 탓에 민간 사업자 참여 문턱이 높다는 판단에서다.

3일 수소융합얼라이언스 등에 따르면 산업통상자원부는 이 같은 내용의 수소차와 충전소 확대를 위한 지원 방안, 규제 완화 등의 내용을 담은 수소 경제 활성화 로드맵을 곧 발표할 예정이다.


수소충전소 운영비용 지원은 높은 수소 가격 등 운영업자의 비용부담이 너무 큰 탓에 지원의 필요성이 꾸준히 제기돼왔다. 현재 정부는 충전소 운영비의 50%를 지원하는 방안을 유력하게 검토하고 있다. 통상 운영비는 연 2억원 정도 소요될 것으로 알려졌다.

관련기사



이는 정부가 현재 15개소에 불과한 수소충전소를 2022년까지 310개소로 확대한다고 밝힌 데 따른 조치다. 충전소 확산을 위해 운영비 지원은 필수적이기 때문이다. 국제에너지기구(IEA)는 보급 초기 단계에서 충전수요 부족 등으로 수소충전소의 운영 손실이 불가피한 기간을 대략 10~15년 정도라며 이를 ‘죽음의 계곡’이라고 분석한 바 있다.




운영비 지원 비율 등 규모는 수소충전소 민간 특수목적법인인 수소에너지네트워크주식회사 ‘하이넷(HyNet)’의 법인 설립 이후 의견을 청취 후 확정한다는 방침이다. 하이넷 출자에는 한국가스공사, 현대자동차, 에어리퀴드 코리아 등 총 13개의 국내외 기업이 참여했고 현재 공정거래위원회 기업결합심사 등 법인 설립 절차를 밟고 있다. 수소융합얼라이언스 관계자는 “일본의 SPC 모델은 정부가 충전소 보조금과 운영비, 설치 융자금까지 전폭적으로 지원해 보급 목표를 달성하는 방식”이라며 “한국에서 추진되는 SPC 모델도 이를 참고하고 있다”고 말했다.

미국과 일본 등 수소차 경쟁에 뛰어든 선진국은 운영비를 지원하고 있다. 미국은 충전소 가동률이 70%에 도달할 때까지 운영비의 60~100%를 지원하고 있다. 독일 역시 충전소 운영비의 60% 이상을 보조한다. 일본도 2016년부터 2억1,700만 원 한도 내에서 운영비의 3분의 2 를 지원하고 있다.

반면 우리는 운영비 지원 없이 수소충전소 설치비만 지원해왔다. 업계 관계자는 “국내 수소충전소는 지자체가 관리해왔다”며 “올해부터 민간에서 13개 소의 충전소를 운영하게 될 만큼 민간 보조는 필요한 상황”이라고 지적했다./세종=박형윤기자 manis@sedaily.com

박형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