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발언대] 안전도시 구축, 지자체가 앞장을

김석진 울산광역시 행정부시장

김석진 울산광역시 행정부시장



행정안전부가 최근 공개한 ‘2018년 지역안전지수’에서 울산광역시가 모든 분야에서 3등급 이상을 기록하는 성적표를 받았다. 이는 울산시가 여러 분야에서 안전한 편이라는 뜻으로 17개 광역자치단체 중 이 같은 평가를 받은 곳은 울산이 유일하다.


울산시가 처음부터 이런 평가를 받은 것은 아니다. 지난 2015년 말 공개된 첫 지역안전지수에서는 교통사고·화재·생활안전 3개 분야에서 하위권인 4·5등급을 받았다. 당시 도시의 안전과 관련해 성적도 낮았지만 울산시는 국가산업단지와 원자력발전시설 등이 있어 시민들의 불안감이 컸다. 특단의 대책이 필요했다. 이에 2016년부터 울산시민의 안전이 최우선이라는 정책 목표를 갖고 행정력을 집중했다. 같은 해 2월 ‘시민안전 종합대책 보고회’를 시작으로 4월에는 지역안전지수 개선대책 회의를 통해 분야별 추진대책을 수립했다. 이후에도 매년 2회 이상 주기적으로 추진상황을 점검했다.



이 과정에서 울산시의 노력만으로는 분야별 안전대책 수립에 한계가 있다는 것을 인식하고 관할 기초자치단체 및 울산지방경찰청을 비롯해 시교육청·소방본부 등과 탄탄한 협업체계를 구축했다. 이를 통해 통계 수급과 문제점 분석 등이 쉬워졌고 맞춤형 개선사업도 효율적으로 추진할 수 있게 됐다. 이런 노력의 결과로 교통사고 분야는 2014년부터 2017년까지 사망자가 102명에서 63명으로 38% 감소했다. 화재 분야에서는 등급이 올해 2등급으로 지난해보다 두 계단 상승했다. 물론 아쉬운 점도 있다. 자살 분야의 등급이 지난해 2등급에서 한 계단 하락했다. 울산 동구지역에서 조선업 불황 등의 영향으로 자살 사망자가 증가한 것이 주요 원인으로 분석된다.

얼마 전 김부겸 행정안전부 장관이 지역안전개선 유공자를 격려하면서 “안전 문제는 자치단체가 가장 잘할 수 있고 또 잘해야 하는 분야”라며 “자치분권 시대에 걸맞게 안전자치도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전적으로 공감한다. 모든 지자체가 지역안전을 위해 노력하면 우리나라 전체가 안전하게 되는 것이다. 앞으로 울산이 경제적으로 풍족한 도시뿐만 아니라 ‘안전제일 도시’로도 자리매김하고 더 나아가 전국 모든 도시가 안전한 지역이 되기를 기대해본다.

김정욱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