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정치 발들인 黃 "미래 안보여"...文정부 작심 비판

한국당 입당 첫날 묵직한 견제구

"국민뜻 맞춰 결정" 전대 출마 시사

'황교안 vs 오세훈' 양강구도 속

김무성 "대선 전초전 변질" 우려도

황교안(오른쪽) 전 국무총리가 15일 오전 국회 본청 자유한국당 회의실에서 입당식에 앞서 김병준 비상대책위원장과 악수하고 있다.  /연합뉴스황교안(오른쪽) 전 국무총리가 15일 오전 국회 본청 자유한국당 회의실에서 입당식에 앞서 김병준 비상대책위원장과 악수하고 있다. /연합뉴스



황교안 전 국무총리가 15일 자유한국당에 입당하며 “나라 상황이 총체적 난국이다” “지금 대한민국에는 미래가 안 보인다” 등 문재인 정부를 향한 날 선 비판을 쏟아냈다. 자신의 정당 활동에 정당성을 부여하는 한편 ‘대(對)정부 견제’라는 상징성을 부각하기 위한 의도로 풀이된다. 당권 도전을 두고는 “국민 뜻에 어긋나지 않도록 결정하겠다”며 가능성을 시사했다.


황 전 총리는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입당식에서 작심하고 현 정부를 비판했다. 그는 “누구 하나 살 만하다고 하는 사람이 없을 정도로 경제가 어렵고, 평화가 왔다는데 안보를 걱정하는 분들이 늘어나고 있다”며 “정부가 소통을 앞세우지만 정책 불통이 심각하다”고 쏘아붙였다. 특히 전 정권에 대한 적폐청산을 겨냥하며 “세계 모든 나라가 미래를 바라보며 변화와 혁신을 거듭하는데 우리 정부만 과거에 집착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정치권의 관심사인 ‘전당대회 출마’에 대해서는 가능성을 열어뒀다. 출마 여부와 관련한 질문에 “(오늘이) 정치에 발을 내디디는 첫 자리”라며 즉답을 피했지만 “당원과 국민이 바라는 점까지 충분히 듣고 그 뜻에 어긋나지 않게 결정할 것”이라고 여지를 남겼다. 사실상 ‘당내 요구가 있다면 출마할 수 있다’는 의중을 내비친 것이다. 입당 포부로도 ‘통합’을 재차 강조했다. 자신의 등판에 따른 계파 갈등 및 탄핵 책임 공방 재연 우려를 고려한 발언이다. 그는 “지금은 통합과 화합·단합이 어느 때보다 중요한 때”라며 “나도 한국당 당원 여러분과 함께 문재인 정부의 실정과 민생 파탄을 저지하고 국민이 잘사는 나라를 만들기 위해 매진하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유력 대권 주자인 황 전 총리의 합류로 한국당은 당권과 차기 대권을 둘러싼 주판알 튕기기로 분주한 모양새다. 당내에서는 당장 ‘대권 주자 수혈’과 ‘보수 결집’ 효과를 기대할 수 있지만 전당대회가 대선 전초전 성격으로 과열될 경우 계파 갈등이 재연될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실제로 김무성 의원은 이날 당 토론모임 직후 기자들과 만나 “이번 전당대회에서 대선 전초전이 너무 빨리, 그리고 치열하게 전개되는 경우 또 다른 분열의 씨앗을 잉태하게 된다”며 “과거 민주당에서 문재인 당시 대선 주자가 당권을 먼저 잡자 결국 안철수라는 또 다른 주자가 갈라서는 결과가 초래됐다”고 전했다. 김 의원은 자신의 출마에 대해서는 “현재로서는 (불출마에) 변함이 없다”고 말했다.

당권 도전자들의 셈법도 복잡해지고 있다. 전대 룰이 단일지도체제(당 대표·최고위원 분리 선출)로 현상유지되면서 대진표도 크게 요동칠 것으로 전망된다. 당선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낮은 ‘미들급’ 후보들이 최고위원 선거 출마로 선회하면서 당 대표 선거는 소수 ‘헤비급’ 후보들의 격전장이 될 가능성이 높아졌기 때문이다. 이로써 한국당 당권 경쟁은 황 전 총리 대 오세훈 전 서울시장 구도로 점쳐지지만 최근 유튜브 ‘홍카콜라’로 상한가를 기록하고 있는 홍준표 전 대표의 출마 여부도 핵심 변수다. 황 전 총리가 친박(친박근혜)계 및 대구·경북(TK)의 지지를 받는 만큼 홍 전 대표가 직접 나서 친박계의 당권 장악을 저지할 수 있다는 관측에서다. 이 외에도 김병준 비상대책위원장, 김 의원 등이 출마해야 한다는 주장이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


송주희·양지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