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경제·마켓

방미 수락한 中 류허, 미중 무역협상 타결 종지부 찍나

류허 중국 부총리 /AP연합뉴스류허 중국 부총리 /AP연합뉴스



중국의 대미 무역협상 대표인 류허 부총리가 오는 30~31일 무역 협상을 위해 워싱턴DC를 방문하기로 하면서 최종 합의 여부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16일(현지시간)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협상 관계자를 인용해 류 부총리가 무역 협상을 위해 미국 방문 요청을 받아들이기로 했다고 보도했다. 이 기간 동안 류 부총리는 스티븐 므누신 미국 재무부 장관과 로버트 라이트하이저 미 무역대표부(USTR) 대표를 만나 무역전쟁 종식을 위한 담판을 벌일 예정이다.

이달 초 베이징에서 차관급 협상을 한 데 이어, 류 부총리가 미국을 방문해 고위급 협상을 이어가자 시장에서는 무역전쟁 종식에 한 발 더 나가선 것으로 해석하고 있다.

특히 경기 둔화세와 맞물려 무역전쟁 피해가 나타나는 중국과 함께 미국 역시 연방정부 셧다운(일시적 업무정지) 장기화 속 경기 둔화 신호가 나타나는 등 부담감이 커지자 일정 부분 양보를 통한 협상 타결 가능성도 높아지고 있다는 평가다.


앞서 지난 14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도 “중국 경제가 고통을 겪고 있다. 난 우리가 중국과 (무역)합의를 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밝히며 중국과의 무역분쟁을 해소하기 위한 협상 타결을 낙관했다. 이에 대해 전문가들은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과의 합의 임박을 시사한 것이 중국으로부터의 양보안을 기꺼이 받아들이겠다는 신호라고 분석하고 있다.

관련기사



웨이젠궈 전 중국 상무부 부부장(차관급)은 “트럼프 대통령도 셧다운과 주식시장 약세 등 양대 악재를 맞고 있어 무역전쟁의 승리를 선언하길 원할 수 있다”고 진단했다. 피터슨국제경제연구소의 니콜라스 라디 선임연구원은 “가장 유력한 시나리오는 중국이 제시한 양보안을 미국이 모두 받아들이고, 대신 고율의 관세 부과를 일정 기간 유예해 중국이 약속을 이행할 시간을 주는 것”이라고 말했다.

반면 이번 협상이 기대와 달리 핵심 쟁점에서 큰 진전이 없어 완전한 타결 가능성은 희박하다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특히 중국의 지적재산권 도용과 중국에 투자하는 미국 기업에 대한 기술이전 강요 등 이른바 ‘구조적 이슈’에 대한 간극이 여전히 좁혀지지 않고 있는 점이 이번 고위급 회담의 최대 걸림돌이 될 전망이다.

로이터통신은 15일 공화당 척 그래슬리(아이오와) 상원의원이 라이트하이저 대표가 지난 11일 만남에서 “(중국의) 구조적 변화와 관련해서는 아무런 진전이 없었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다만 협상이 실패하더라도 전면적인 고율 관세 부과 보다는 관세 예외 품목 확대 등 충격을 완화하며 협상의 끈을 이어 갈 가능성도 나오고 있다.

실제로 공화당 상원의원인 패트릭 투미(펜실베니아)는 “관세는 미국 소비자와 근로자들을 다치게 하는 세금”이라고 지적하며 협상이 실패로 끝나 보복관세가 부과된다고 하더라도 관세 예외 품목 확대를 요구했고, USTR은 이에 “2,000억달러 규모의 물품에 대한 25%의 고율 관세과 부과 되더라도 USTR은 적절한 배제 절차를 시행할 것을 약속한다”고 답했다고 블룸버그 통신은 전했다.


노현섭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