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2040년까지 수소차 620만대 생산·전국에 1,200개 충전소 확충

문재인 대통령 17일 울산시청서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 발표

2025년까지 수소차 10만대 양산...가격도 3,000만원대 이하로

수소 활용 발전용 연료전지도 2040년까지 15GW까지 확대




현재 2,000대에 불과한 수소차 생산량을 2040년까지 620만대로 끌어올리고 14곳인 수소충전소도 전국에 1,200곳으로 확대한다. 그 전 단계로 6년 뒤인 2025년까지 수소차 10만대 양산체계를 갖추고 수소차 가격도 현재의 절반 수준인 3,000만원대로 낮춘다. 수소를 활용한 친환경 발전용 연료전지도 2040년까지 원전 15기 발전량에 해당하는 15기가와트(GW)까지 확대하는 방안이 추진된다.

문재인 대통령과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등은 17일 울산시청에서 이 같은 내용의 수소차·연료전지 활성화 방안을 담은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을 발표했다. 선제적 대응을 통해 세계시장 점유율 1위를 달성하겠다는 목표도 제시됐다.


로드맵에 따르면 올해 국내에만 수소 승용차 4,000대 이상을 보급하고 2025년까지 연 10만대의 양산체계를 구축해 수소차 가격을 현재의 절반 수준인 3,000만원대로 낮춘다. 정부는 2022년까지 막전극접합체, 기체확산층 등 수소차 핵심 부품 국산화율 100%를 달성해 시장성이 확보되면 2030년 약 85만대 규모의 내수 기반을 마련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이를 통해 2040년까지 내수 290만대, 수출 330만대 등 총 620만대를 생산하는 게 이번 로드맵의 목표다. 정승일 산업부 차관은 “중국의 경우 2030년에 100만대, 일본은 80만대이며 미국의 캘리포니아주 같은 경우에는 100만대, 독일의 경우에 180만 대 수소차 보급을 목표로 관련 시장 창출 노력을 하고 있다”며 “로드맵상의 목표나 개발 양산계획이 전혀 무리한 계획이 아니다”고 설명했다.

대중교통 분야에서도 2040년까지 수소버스를 4만대까지 늘리고, 수소택시도 8만대로 늘린다. 이를 위해 올해 7개 주요 도시에 수소버스 35대 보급사업을 시작하고 경찰버스 등 공공부문 버스를 수소버스로 전환한다. 수소택시의 경우는 올해 서울에서 10대 규모로 시범사업을 추진하고 2030년까지 내구성(현재 20만㎞ 내외)을 50만㎞ 이상으로 개선한다. 쓰레기수거차, 청소차, 물류용 트럭 등도 수소트럭으로 전환해 2040년까지 3만대를 확충한다.


수소차 보급에 핵심 과제인 수소충전소는 2022년까지 310곳, 2040년까지 1,200곳을 구축한다. 수소충전소 1곳을 설치하는 데 약 30억원이나 드는 점을 감안해 경제성을 확보할 때까지 설치보조금을 지원하고 운영보조금 지급도 검토한다. 민간 충전소 확대를 위해 특수목적법인(SPC) 참여 확대와 함께 기존 액화석유가스(LPG)·압축천연가스(CNG) 충전소를 수소충전이 가능한 융복합 충전소로 전환한다. 또 규제샌드 박스를 활용해 도심지, 공공청사 등 주요 거점에 충전소를 설립할 경우 입지제한·이격거리 규제 등을 완화하거나 유예한다.

관련기사





정부는 이와 함께 발전용 연료전지 생산을 2040년까지 15GW(내수 8GW)까지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우선 2022년까지 국내 1GW 보급을 통해 규모의 경제를 확보하고 2025년에는 중소형 LNG 발전과 대등한 수준까지 경제성을 높인다. 또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 올 상반기에 연료전지 전용 LNG 요금제를 신설하고 신재생에너지 공급인증서(REC) 가중치도 당분간 유지하는 등 투자 불확실성을 제거한다.

가정과 건물용 연료전지의 경우 지난해 5MW에서 2022년에 50MW로 보급을 확대하고, 2040년까지 약 100만 가구에서 사용할 수 있는 수준인 2.1GW를 보급해 나갈 계획이다.



늘어나는 수요를 충당하기 위해 올해 13만톤 규모의 수소 생산을 2040년 526만톤으로 확대한다. 석유화학 공정에서 부산물로 생기는 부생수소 5만톤(수소차 25만대 분량)을 활용하는 한편 천연가스 공급망 및 수요처 인근에 추출수소 생산기지 구축 등 관련 인프라도 확충해 나간다는 방향을 제시했다. 수소 가격도 1㎏당 3,000원 이하로 유도한다.



정부는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이 차질없이 이행될 경우 2040년에는 연간 43조원의 부가가치와 42만개의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하게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세종=강광우기자 pressk@sedaily.com

강광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