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트럼프 빠진 다보스…참석자들 일제히 트럼프 정부 비판

메르켈 후임 獨 여당대표, 美 외교정책 비판…IMF 총재 “미·중 무역전쟁 리스크”

유엔 사무총장, 기후변화 대응 비판…EU “자동차 관세 부과하면 맞대응"

다보스 전경/연합뉴스다보스 전경/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을 포함한 미국 대표단이 불참한 가운데 스위스 다보스에서 진행 중인 세계경제포럼(WEF·다보스포럼)에서 트럼프 정부를 비판하는 목소리가 연이어 터져 나왔다.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의 정치적 후계자인 안네그레트 크람프 카렌바우어 기독민주당 대표는 24일(현지시간) “수많은 국제협약을 제쳐놓고 제재를 앞세우는 미국 정부의 방식은 다른 나라들과 함께 일할 때 좋은 방식이 아니다”라고 꼬집었다. 그는 이날 다보스포럼에서 블룸버그TV와의 인터뷰에서 “당사자 중 한쪽이 이런 규칙들이 더 적용되지 않으니 협약을 파기하겠다고 하기는 어려운데 그런 결정은 세계 속에서 협력하며 일하는 것을 힘들게 만든다”고 말했다. 그는 러시아와 유럽을 연결하는 천연가스 파이프라인 사업인 ‘노르트 스트림 2’ 참여 업체들이 제재를 받을 수 있다고 한 독일 주재 미국 대사의 언급에 대한 입장을 묻는 말에 이같이 말했다.


지난달 7일 독일 집권 여당의 당 대표가 된 크람프 카렌바우어 대표는 ‘미니 메르켈’로 불리며 차기 총리 후보로 유력하게 꼽히는 인물이다. 전날 메르켈 총리 역시 특별연설에서 “모두 각자 이익을 추구하면 세계가 나아질 것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있는데 국가적 이익도 다른 나라를 고려하면서 추구해야 한다”며 트럼프 대통령의 ‘미국 우선주의’를 에둘러 비판했다.

관련기사



크리스티안 라가르드 국제통화기금(IMF) 총재는 24일 세계 경제가 직면한 주요 리스크로 미국과 중국 사이에 교역을 둘러싼 긴장이 고조되는 현 상황을 거듭 언급했다. 그는 미·중 무역 갈등이 중국의 경기 둔화를 촉발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그는 이날 세션에서 “중국의 경기 둔화는 그 자체로 문제 될 게 없다”면서 “그러나 둔화 속도가 빨라진다면 정말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고 경고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선전 포고로 시작된 무역전쟁이 가급적 협상을 통해 빨리 일단락 되기를 촉구한 것이다.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은 이날 기조연설에서 세계의 기후변화 대응에 대해 입장을 밝혔다. 전 세계가 기후변화 대응에 실패하고 있다고 비판하며 지구 온난화를 막기 위해서는 정부의 과감한 행동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대다수가 재계 인사인 참석자들에게 “세계 경제와 관련해 가장 위협이 되는 것은 기후변화”라면서 “기후변화는 우리가 알고 있는 것보다 더 빨라지고 있다”고 심각성을 강조했다. 지구 온난화를 늦추기 위해 2015년 12월 195개국이 서명하면서 채택된 파리기후변화협약은 미국이 탈퇴하면서 이행 여부가 위태로운 상황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기후변화 주장이 거짓이라며 취임 5개월만인 2017년 6월 탈퇴를 선언했다.

세실리아 말스트롬 유럽연합(EU) 통상담당 집행위원은 이날 세션에서 미국이 계획대로 유럽산 자동차에 관세를 부과하지 못할 것이라며 설령 부과한다 해도 EU는 대응 준비를 계획 중이라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해 3월 수입산 알루미늄, 철강에 관세부과 방침을 밝히면서 자동차에도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했으나 장클로드 융커 EU 집행위원장과 ‘휴전 협상’을 한 뒤 실제 행동에는 나서지 않고 있다. 말스트롬 집행위원은 “만약에 미국이 관세를 부과한다면 우리는 대응할 것”이라며 “우리가 대응에 나서는 일이 없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정현정 인턴기자 jnghnjig@sedaily.com

정현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