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위안부 피해자 상징' 김복동 할머니 별세…향년 93세

향년 93세로 恨 많은 삶 마감…1992년 위안부 피해 증언

이후 활발한 인권운동과 기부활동 해 나가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인 김복동(93) 할머니가 28일 오후 10시 41분 서울 서대문구 신촌 세브란스병원에서 별세했다. 사진은 김복동 할머니가 지난해 9월 3일 서울 종로구 외교부 청사 앞에서 ‘화해치유재단’ 즉각 해산을 촉구하며 빗속 1인 시위를 하는 모습. /연합뉴스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인 김복동(93) 할머니가 28일 오후 10시 41분 서울 서대문구 신촌 세브란스병원에서 별세했다. 사진은 김복동 할머니가 지난해 9월 3일 서울 종로구 외교부 청사 앞에서 ‘화해치유재단’ 즉각 해산을 촉구하며 빗속 1인 시위를 하는 모습. /연합뉴스



위안부 피해자 김복동 할머니가 28일 향년 93세로 별세했다. 정의기억연대(정의연)는 이날 “김복동 할머니가 오늘 오후 10시 41분 별세했다”면서 “장례식은 ‘여성인권운동가 김복동시민장’으로 치른다”고 밝혔다.

정의연에 따르면 김 할머니는 1926년 경상남도 양산에서 태어나 1940년 만 14세의 나이에 일본군 위안부로 끌려갔다. 이후 중국, 홍콩,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싱가포르 등에서 강제 ‘성노예’ 생활을 해야 했다. 김 할머니는 1992년 위안부 피해 사실을 공개하며 본격적으로 여성 인권 운동을 향한 길을 걸었다. 김 할머니는 1992년 8월 제1차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최된 아시아 연대회의에서 위안부 피해를 증언했다. 이후 김 할머니는 1993년 오스트리아 빈 세계인권대회를 시작으로 세계 곳곳에서 증언을 해 나갔다.


김 할머니는 2012년 3월 8일 기자회견에서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로서 일본대사관 앞에 서서 우리에게 명예와 인권을 회복시키라고 싸우기를 계속하고 있지만, 지금 세계 각지에서 우리처럼 전시 성폭력 피해를 보고 있는 여성들이 얼마나 고통스러울지 나는 너무나 잘 알고 있다”며 “여성들을 돕고 싶다”는 뜻을 밝혔다. 2012년부터 유엔인권이사회, 미국, 영국, 독일, 노르웨이, 일본 등을 수차례 찾아 ‘전쟁 없는 세상’, ‘전시 성폭력 피해자들이 생기지 않는 세상을 위한 활동’ 등의 캠페인을 진행하기도 했다.

관련기사



김 할머니는 기부 활동도 활발히 해 나갔다. 김 할머니는 2015년 6월 전쟁·무력분쟁지역 아이들에게 장학금으로 5,000만원을 기부했다. 2017년 7월 재일 조선 고등학교 학생 2명에게 ‘김복동장학금’을 전하고, 2017년 8월에는 사후 자신의 모든 재산을 기부하겠다고 밝히기도 했다. 2017년 11월에는 포항지진 피해자를 위해 1,000만원을 기부하고, 여성인권상금으로 5,000만원을 후원해 무력분쟁지역 성폭력 피해자 지원 및 활동을 위한 ‘김복동 평화상’이 만들어지기도 했다. 지난해에도 어려움에 처한 재일조선학교에 5,000만원을 기부하고, 올해 1월에는 ‘바른 의인상’ 상금 500만원을 재일조선학교에 전달하기도 했다.

정의연은 “김 할머니는 수많은 위안부 피해자들의 상징이었다”면서 “일본의 진정한 사죄와 제대로 된 배상을 요구해온 인권 평화 활동가였다”고 밝혔다. 김 할머니는 지난해 9월 암 투병 와중에도 서울 종로구 외교통상부 청사 앞에서 ‘화해치유재단 즉각 해산’을 주장하며 1인 시위를 벌였다.

김 할머니의 별세로 위안부 피해자 생존자는 23명으로 줄었다. 앞서 이날 오전엔 위안부 피해자 이모 할머니가 별세했다. 정의연은 “김 할머니의 빈소는 연세대 세브란스병원 장례식장에 차려진다”며 “조문은 1월 29일 오전 11시부터 가능하다. 2월 1일 발인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박원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