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경기도, 체육계 성폭력 피해사례 조사 수위 높이기로

도, 대상 4,674명으로 확대 …장애인 포함 등 전체 선수

체육계 성폭력 근절 대책을 추진 중인 경기도가 피해사례 조사 대상을 애초 921명에서 4,674명으로 확대하는 등 조치수위를 한 단계 더 높였다.

오후석 경기도 문화체육관광국장은 29일 기자회견을 열고 “빙상선수 성폭력 사건 발생을 계기로 경기도에 있을지 모르는 체육계 인권보호와 재발 방지 대책을 마련하기 위해 경기도에 등록된 엘리트 선수와 장애인 선수에 대한 전수조사를 시행한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도는 애초 도내 직장운동부 921명으로 한정했던 폭행·폭언·성폭력 등 체육계 인권침해에 대한 피해사례 전수조사 대상을 도와 시군 직장운동부에서 활동하고 있는 선수와 장애인선수(2,540명)를 포함한 3,461명과 대학생 선수 1,213명 등 모두 4,674명으로 늘렸다.

도는 조사과정에서 2차 피해 방지를 위해 익명성을 최우선으로 하는 온라인 설문을 시행해 피해사례를 파악할 예정이다. 설문은 선수들이 온라인 조사시스템에 접속해 간단한 절차만 거쳐 쉽게 참여할 수 있으며, 설문참여과정에서 선수 개인정보와 설문응답의 비밀은 철저히 보장되며 응답으로 인한 불이익은 전혀 없다고 도는 설명했다. 이와 별도로 설문조사가 불가능한 지적장애 여자선수 137명은 관련 전문가를 통해 1대1 조사를 할 계획이다.


도는 조사를 통해 구체적 성폭력 피해사례를 발견하거나 경기도인권센터에 성폭력 피해 사례가 접수됐을 경우 피해자에 법률상담과 고소장 작성 등이 가능한 무료 법률서비스를 제공해 대응하도록 하는 한편 가해자는 영구제명 등 강력히 조치할 예정이다.

관련기사



또 도는 인권침해 사전예방을 위해 인권교육을 연중 감독·코치·선수 등을 대상으로 시행할 방침이다.

이밖에 도는 경기도와 경기도의회, 관계기관, 전문가 등으로 구성된 경기도 특별대책 TF를 구성하고 성폭력 대책 개선방안 마련과 연중 감시체계를 마련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경기도 인권센터 내에 선수보호를 위한 상담·신고센터도 병행해 운영할 방침이다. 경기도는 이미 지난 1월 28일부터 인권센터에 성폭력 전문가를 배치하여 상담과 신고신청을 받고 있다.

오 국장은 “이번 사건을 계기로 다시는 경기도에 인권 침해로 고통받는 선수가 발생하지 않도록 적극적으로 대처하겠다”고 말했다.



윤종열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