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경제·마켓

경기둔화에 다급한 中…10년만에 자동차·가전 ‘하향’ 도입

발개위, 소비지원책 발표…소형차 및 가전제품 구매 농민에 보조금

28일 중국 베이징에서 시민들이 춘제를 앞두고 장식품을 고르고 있다. /EPA연합뉴스28일 중국 베이징에서 시민들이 춘제를 앞두고 장식품을 고르고 있다. /EPA연합뉴스



중국 정부가 소비를 촉진하기 위해 소형차를 구매하거나 노후 가전제품을 교체하는 농촌 지역 주민에 대한 보조금을 지급하기로 하는 등 다양한 소비 지원책을 발표했다. 글로벌 금융위기 충격 완화를 위해 10여년전 농촌에서 시행한 자동차·가전 하향(下鄕) 정책이 부활한 셈이다.

29일 중국 국가발전개혁위원회(발개위)는 홈페이지를 통해 공업신식화부 상무부 등 10개부처 공동으로 ‘공급고도화를 통한 소비의 평온한 성장과 강대한 국내시장 형성 촉진 실시 방안’을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자동차·가전제품에서부터 정보 서비스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제품과 서비스의 소비를 촉진하기 위한 지원책이 제시됐다.


세부적으로는 삼륜차·3.5톤 이하 화물차·배기량 1.6리터 이하의 승용차를 구매하는 농촌 지역 주민에게 보조금을 제공하는 하기로 했다. 또 신에너지 차량 구매 시에도 보조금을 제공하고, 중고차 판매상에 세제 지원 혜택을 주기로 했다. 지원책에는 아울러 친환경, 스마트 가전제품을 구매하거나 노후 가전제품을 교체하는 농촌 지역 주민들에게 보조금을 주는 내용도 포함돼 있다.

관련기사



중국 정부의 이런 조치는 미·중 무역 전쟁 등의 여파로 침체 상태에 있는 경기를 활성화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특히 경기둔화와 미·중 무역 전쟁의 여파로 중국의 자동차 판매량은 1990년대 이후 처음으로 하락세를 기록했다.

10년전 글로벌 금융위기의 충격을 완화하기 위해 대대적인 부양책을 펼친 것과 함께 농촌에서 자동차와 가전제품을 신형으로 바꿀 때 보조금을 주는 정책인 ‘자동차·가전 하향’을 이번에 다시 도입한 셈이다. 중국 정부가 최근의 경기둔화에 대해 고민하는 정도를 알 수 있다. 작년 중국의 경제성장률은 6.6%로, 1990년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했다. 특히 지난해 4·4분기 성장률은 6.4%에 그쳐 금융위기 이후 분기별로 최저였다.

/베이징=최수문특파원 chsm@sedaily.com

최수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