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충남도 "노후 화력발전소 폐쇄 앞당긴다"…전담팀 가동

火電 수명기준 줄어 보령화력 1·2호기 2020년까지 폐쇄

충남도는 30일을 시작으로 태스크포스를 가동해 도내 노후된 화력발전소의 조기 폐쇄를 추진한다. /이미지투데이충남도는 30일을 시작으로 태스크포스를 가동해 도내 노후된 화력발전소의 조기 폐쇄를 추진한다. /이미지투데이



충남도가 노후된 석탄화력발전소를 이른 시기에 폐쇄하기 위해 태스크포스(TF)를 가동한다.

30일 충남도에 따르면 이날 도 창조경제혁신센터에서 ‘노후 석탄화력발전소 조기폐쇄 TF’ 실행팀의 첫 회의를 가졌다. TF는 남궁영 행정부지사(단장)와 구본풍 미래산업국장(팀장)을 중심으로 실행팀과 자문팀을 꾸린 뒤 노후 석탄화력발전소 조기 폐쇄를 위한 정책 활동을 펼칠 예정이다. 실행팀은 도 에너지과와 관련 부서·사업소 관계자를 비롯, 탈석탄 동맹을 이끄는 영국·캐나다 정부의 기후정책 관련 실무자 등 16명으로 구성된다. 자문팀은 광역·기초 시의회, 시민사회단체, 유관기관, 학계·국내외 언론 관계자 등 각계 전문가 21명으로 꾸려진다. 실행팀은 매달 한 차례 이상, 자문팀은 분기마다 한 차례 이상 회의를 연다.


목표는 올해 정부의 ‘제9차 전력수급 기본계획’에 노후 석탄화력발전소 수명 기준을 30년에서 25년으로 줄이는 내용을 반영하는 것이다. 이 계획이 현실이 된다면 도내 화력발전소 30기 중 절반에 가까운 14기가 2026년까지 차례대로 문을 닫을 것으로 보인다. 특히 35년 이상 운영된 보령발전소 1·2호기의 사용 기한이 2022년(제8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서 2020년으로 앞당겨진다.

관련기사



이를 위해 도는 논리 개발을 위한 연구용역을 맡기고, 환경부와 수도권·충남이 참여하는 환경정책협의회에서 화력발전소 조기폐쇄 안건을 논의한다. 또한 강원·전남·경남과 탈석탄 정책 협약을 체결하고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국회의원과 세미나 개최, 도의회와 시·군 탈석탄 정책 토론회 개최, 국내외 언론·NGO와 함께 탈석탄 국제협력 네트워크 확충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

구본풍 미래산업국장은 “노후 석탄화력발전소 조기폐쇄는 깨끗하고 안전한 에너지 전환으로 가는 길”이라며 “우리 도가 주도하는 노후 화력발전소 단계적 폐쇄 TF가 탈석탄 로드맵의 나침반이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박원희 인턴기자 whatamove@sedaily.com

박원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