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스포츠 방송·연예

[인터뷰] '킹덤' 김은희 작가 "배고픈 좀비로 조선 민초의 아픔 표현했죠"

"인육 먹으려 달려드는 좀비 통해

최악 직면한 인간의 본모습 묘사"

김은희 작가/사진제공=넷플릭스김은희 작가/사진제공=넷플릭스



올 상반기 최대의 기대작은 단연 글로벌 동영상 서비스 기업 넷플릭스의 첫 오리지널 한국 드라마 ‘킹덤’이다. ‘조선 시대 좀비물’이라는 신선함에 탄탄한 서사와 아름다운 영상, 그리고 온도에 민감하다는 특징을 가진 ‘킹덤’만의 특별한 좀비를 통해 전 세계적으로 뜨거운 반응을 이끌어내고 있다.

‘킹덤’의 세계관은 ‘시그널(2016)’ ‘유령(2012)’ ‘싸인(2011)’ 등 TV 드라마 장르극을 써온 인기 작가 김은희(47·사진)의 손에서 탄생했다. 그는 “조선 시대만의 특별한 좀비를 만들기 위해 신경을 썼다”고 말했다.

최근 서울 종로구 팔판동의 한 카페에서 진행된 라운드인터뷰에서 김 작가는 “외국 좀비들의 다양한 설정이 많지만 우리만의, ‘킹덤’만의 좀비를 창조해보려고 생각했다”며 “기획 당시 조선의 시대적 단면에서 좀비의 특징을 더 가져오면 좋겠다고 생각해 권력에 대한 탐욕, 민초의 배고픔 등을 좀비를 통해 표현했다”고 말했다. 그는 “식욕만 남아버린 좀비의 슬픔과 배고픔을 조선 시대로 가지고 온다면 기득권층의 부당한 대우로 인한 민초들의 아픔을 표현할 수 있을 것 같았다”고 덧붙였다.


이어 김 작가는 “좀비가 잔인하다고 생각하지 않는다”며 “사람을 먹겠다고 달려드는 좀비들로 최악의 상황을 맞닥뜨린 사람들의 본모습을 표현하고자 했다”고 말했다. 김 작가가 처음 ‘킹덤’을 기획했을 때 가장 먼저 생각한 장면은 입은 옷은 다 다르지만 한데 뒤엉켜 있는 좀비들의 모습이었다. 왕부터 신하, 양반, 백정, 모든 계층이 좀비가 되면 모두 평등해지기 때문이다.

관련기사



그러나 지난 25일 공개된 ‘킹덤’은 1회부터 사람의 목이 잘리거나 굶주린 민초들이 인육을 먹는 등 잔인한 장면이 여과 없이 그대로 등장했다. 국내 지상파나 케이블에서는 신체 절단 장면이 나오기 어려운 만큼 이 정도 수위를 담기에는 넷플릭스가 최적의 플랫폼이었다. 하지만 그만큼 새로운 플랫폼에 적응하느라 애를 먹기도 했다고 김 작가는 말했다. “매번 16부작을 하다가 6부작은 처음이라 리듬이나 템포 면에서 완전히 다른 형태에 맞춰야 했어요. 회당 러닝타임이나 전체 분량에서 템포가 안 맞는다 보니까 기승전결을 다시 짰고 엔딩에 대한 고민이 많았습니다.”

뛰어난 상상력을 발휘한 작품으로 세상을 깜짝 놀라게 만드는 김 작가는 쉼 없이 책을 읽고 자료조사를 하면서 자신을 단련해나간다고 했다. 그는 “작업실·집·머리맡 등 손 닿는 곳마다 책을 뒀다”며 “‘시그널’을 할 때는 ‘시그널’에 맞는 자료 조사가 필요하고 ‘킹덤’을 할 때는 킹덤에 맞는 자료조사가 필요한 만큼 그 안에 빠져 살고 계속 공부하고 답사를 간다”고 말했다.

드라마 작가를 꿈꾸는 후배들을 향해서는 “45%의 재능, 55%의 인성이 필요한 것 같다”고 당부했다. “똑같은 자료조사를 했을 때 찾을 수 있는 친구가 있고 못 찾아내는 친구가 있는데 어느 정도 타고난 재능이 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며 “여기에 끝까지 물고 늘어지고 포기하지 않는 성격도 중요하다”고 말했다.

‘킹덤’ 시즌1이 공개된 후 시즌2에 대한 궁금증은 더욱 커지고 있다. 김 작가는 “대본 집필은 완료했고 오는 2월11일 첫 촬영에 들어간다”고 귀띔했다. 김 작가는 시즌3, 시즌4에 대한 기대감도 드러내며 “만약에 하게 된다면 시즌3에는 새로운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는, 굉장히 새로운 이야기를 담을 예정”이라고 말했다.


김현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