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기술경영' 나선 조현준, MIT와 산학연계 세미나

폴리나 아니키바 MIT 교수가 지난 29일 서울 마포 효성 사옥에서 개최된 ‘MIT 산학연계프로그램’에서 나노광섬유 등의 기술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사진제공=효성폴리나 아니키바 MIT 교수가 지난 29일 서울 마포 효성 사옥에서 개최된 ‘MIT 산학연계프로그램’에서 나노광섬유 등의 기술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사진제공=효성



효성(004800) 그룹이 미국 매사추세츠공과대학(MIT) 연구진과 혁신기술 기반의 신규 비즈니스 모델 발굴에 나선다. 기술경영을 중시하는 조현준 효성 회장의 경영철학에 따른 행보다.

효성은 지난 29일 마포 본사에서 MIT 교수진과 글로벌 스타트업 기업 6곳이 참여한 가운데 ‘MIT 산학연계프로그램(ILP) 세미나’를 개최했다고 30일 밝혔다.


MIT ILP는 글로벌 기업들과 MIT 연구진이 협력 관계를 구축해 상생이 가능하도록 지원하는 프로그램이다. MIT는 참여 기업에 정보통신기술(ICT)·신소재·첨단제조·헬스케어 등 다양한 분야의 연구결과 등을 소개하고 기업은 MIT 연구진과 기술 및 정보를 교류한다. 국내에선 삼성전자, 현대자동차, LG, 두산중공업 등이 참여하고 있다.

관련기사



전날 세미나에는 MIT 재료과학공학부의 폴리나 아니키바 교수와 라파엘 고메즈 밤바렐리 교수 등이 참석해 ‘인공 근육과 스마트섬유’와 ‘빅데이터 및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신소재 개발’ 등을 주제로 강연했다. 이외에도 ‘프리보 테크놀로지스’나 ‘어펙티바’ 등 테크 스타트업이 세미나에 참석해 암세포 치료에 도움이 되는 약물 전달 플랫폼과 표정·맥박수 등을 감지해 빅데이터로 분석하는 기술 등을 소개했다.

조 회장은 “미래에는 기술 혁신과 더불어 경계를 구분하지 않는 기술 융합이 성장 동력의 중요한 축이 될 것”이라며 “향후 세계 최고 석학 및 연구진들과 정기적으로 세미나를 개최해 트렌드를 주도 할 기술 교류를 지속하겠다”고 밝혔다.


양철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