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주택

서울, 멸실 대비 입주 물량 5년 만에 순증

멸실 물량, 최근 3년 연속 감소

정비사업 지연될 경우 멸실 대비 입주 물량 늘어날 전망




올해 서울 아파트 순입주 물량이 2014년 이후 5년 만에 플러스를 기록할 것으로 조사됐다.

31일 부동산 114에 따르면 올해 서울 입주 물량은 4만3,106가구, 재건축·재개발로 인해 예상되는 주택 멸실 물량은 3만7,7675가구로 순입주 물량은 5,431가구로 조사됐다. 입주물량에서 멸실물량을 뺀 순입주물량이 플러스를 기록한 것은 지난 2014년(1만5,441가구)이후 5년 만에 처음이다.

올해 멸실 물량은 예년에 비해 15% 감소한 수준이다. 최근 3년 동안 서울에서 정비사업이 활발하게 이뤄지면서 연평균 4만4,000가구 가량이 멸실됐던 점에 비춰보면 5,000~6,000가구 감소한 수준이다


입주물량과 멸실물량을 합산해 보면 서울에서 실제 공급되는 주택 수(순입주)를 쉽게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015년 이후부터 2018년까지는 멸실되는 주택이 입주하는 물량보다 많아 주택 ‘희소성’ 이 강하게 부각될 수 밖에 없는 환경이었다. 반면 올해는 멸실 대비 입주물량이 5년 만에 플러스(+)로 전환되면서 전세가격 안정세와 매매가격의 약세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관련기사



특히 올해 입주는 물량이 확정된 반면 멸실은 정비사업 지연 여부에 따라 실제로는 멸실되지 않을 가능성도 있어 당분간 서울의 집값이 오르기는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2020년 예정된 서울 입주물량도 4만가구 수준으로 당분간 안정적인 주택 공급이 예상된다.

다만 2021년 이후에는 재건축·재개발 정비사업의 사업 추진 지연에 따라 신규 입주물량이 1~2만가구 수준으로 크게 줄어들 것으로 예상돼 집값 상승의 불씨는 여전히 잠재돼 있다. 택지공급이 제한적인 서울의 주택 공급은 정비사업에 대한 의존도가 높기 때문이다.

부동산 114 관계자는 “지난해 말 정부와 서울시가 3기신도시와 서울 도심 내 유휴부지에 대한 개발구상을 밝혔지만 서울로 진입하려는 수요가 여전한 만큼 재건축·재개발의 활성화 외에는 정책 대응이 쉽지 않다”며 “과거보다 투기수요가 진입하기 쉽지 않은 상황인 만큼, 용적률 상향이나 임대주택 공급 활성화 등을 통해 서울 지역의 중장기 공급 감소에 대한 대응책도 함께 고민할 시점”이라고 말했다.


한동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