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직장여성 65.8% 첫째 자녀 출산 후 경력단절 경험

40%만 첫째 자녀 출산 전후 휴가 사용

직장여성의 상당수가 자녀를 임신하고 출산하는 과정에서 자신이 하던 일을 지속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이미지투데이직장여성의 상당수가 자녀를 임신하고 출산하는 과정에서 자신이 하던 일을 지속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이미지투데이



직장을 다니는 여성의 상당수가 자녀를 임신하고 출산하는 과정에서 자신이 하던 일을 지속하지 못하고 ‘경력 단절’ 상태가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8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보건복지전문지 ‘보건복지포럼’에 실린 ‘일·가정양립 실태와 정책 함의’ 보고서(이지혜 전문연구원)를 보면, ‘2018년 전국 출산력 및 가족보건·복지 실태조사’ 자료를 이용해 기혼여성의 일·가정양립 실태를 분석한 결과, 이 같은 결과가 발표됐다. 연구 대상은 15~49세 기혼여성 중 자녀 임신 직전에 취업해 있었던 여성들이다. 이들을 대상으로 자녀출산에 따른 경력단절 경험을 조사한 결과, 첫째 자녀를 임신한 취업 여성(5,905명)의 65.8%가 둘째 자녀를 임신하기 전에 하던 일을 그만두었거나(50.3%), 다른 일을 한 것(15.5%)으로 나타났다.


경력단절 발생 시기를 살펴보면, 첫째 자녀 임신 후 경력단절을 경험한 여성의 81.3%가 출산 전에 일을 그만뒀다고 답변했다. 첫째 자녀 임신 후에도 직장에 계속 다닌 여성은 34.2%에 불과했다. 직종별로 보면 취업 당시 직종이 관리직·전문직인 경우, 종사상 지위별로 비임금근로자인 경우, 직장 유형이 정부 기관·공공기관인 경우 다른 집단보다 하던 일을 계속하는 비율이 높았다. 정부 기관·공공기관과 같이 일·가정양립제도가 잘 갖춰지고 이용 환경이 좋은 경우 다른 집단보다 하던 일을 계속하는 경우가 많았던 셈이다.

관련기사



출산 전후 휴가와 육아휴직 사용실태를 보면, 첫째 자녀 임신 전 취업 여성(비임금근로자 제외)의 40%만이 첫째 자녀를 출산하기 전후에 휴가를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출산 전후 휴가 사용 비율은 2001년 이전에 첫째 자녀를 출산한 경우 25.1%에 그쳤으나, 2011년 이후 출산한 경우에는 50%로 늘어났다. 또 경력단절을 겪지 않은 여성의 88.2%가 출산 전후 휴가를 썼지만, 경력단절을 경험한 여성은 17.0%만이 출산 전후 휴가를 사용했다.

육아휴직의 경우도 출산 전후 휴가와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첫째 자녀 임신 전 취업 여성(비임금근로자 제외)의 21.4%만이 육아휴직을 사용한 것으로 조사됐다. 2001년 이전에 첫째 자녀를 출산한 경우 5.3%만이 육아휴직을 썼지만, 2011년 이후 출산한 경우에는 36.7%가 육아휴직에 들어갔다. 육아휴직 사용 비율은 경력단절을 경험하지 않은 경우 48.5%였으나, 경력단절을 겪은 경우에는 8.5%에 그친 것으로 파악됐다. /이다원 인턴기자 dwlee618@sedaily.com

이다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