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SEN]셀리버리, 신약개발 원천기술 美특허 등록 성공

성장성 특례상장 1호기업 ‘셀리버리(268600)’는 “신약개발 원천기술인 약리물질 생체 내 전송기술 (TSDT)이 미국 특허상표청 (USPTO) 에서 2년여 심사 끝에 신규성과 진보성이 인정되어 본 플랫폼기술의 미국 특허 등록이 완료됐다”고 11일 공시를 통해 밝혔다.

셀리버리 측은 “이번 특허 등록이 완료된 약리물질 생체 내 전송기술 TSDT와 이를 적용한 세포막 투과 펩타이드 aMTD는 당사의 신약개발 원천 플랫폼기술”이라며 “유럽연합 27개국 포함 전세계 주요국 33개국에 특허 출원했고, 이 중 가장 심사가 까다롭고 등록이 어려운 미국에서 특허 등록에 성공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로서 당사가 보유한 원천 플랫폼기술 특허는 2018년 05월 취득한 호주 특허와 함께 총 2건이며, 이미 특허 심사가 진행 중인 일본·유럽연합·한국·중국·캐나다에서도 등록이 더욱 빠라질 것으로 예상된다”고 기대를 나타냈다.

셀리버리는 이번 미국 특허를 통해 다양한 약리물질의 신약후보물질화를 가능케 해주는 aMTD 136종 서열 뿐만 아니라, aMTD 펩타이드를 만들어 내는 제조방법까지 모두 권리범위를 인정받았다. 지금까지 이러한 기술들의 미국 특허는 통상 1종의 서열에만 한정되고, 제조방법이 특허로 인정된 사례는 극히 드문 것으로 알려져 있어, 셀리버리의 미국특허 등록 성공은 특히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셀리버리 관계자는 “제조방법에 대한 권리까지 획득했기 때문에 경쟁사에서의 전송 펩타이드 모방 자체가 불가능해 플랫폼기술 특허로서는 최고 수준의 강력한 권리를 인정받은 것”이라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현재 셀리버리에서 개발중인 췌장암·파킨슨병·고도비만 치료후보물질 등 30여건의 특허도 미국·유럽연합 등을 포함한 주요국에 별도 특허 등록을 진행 중이며, 이번 원천기술의 미국특허 등록으로 파이프라인들의 빠른 IP 획득이 예상된다.

셀리버리 측은 :본 플랫폼기술 특허를 기반으로 다양한 약리물질을 대상으로 다수의 기술이전 계약 체결이 가능해질 것“이라며 ”글로벌 제약사들과 라이센싱 협의 시 유리한 입장에서 협상이 진행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셀리버리 관계자는 “미국특허 등록에 성공한 ‘약리물질 생체 내 전송기술 (TSDT)’을 적용해 일본 다케다 (글로벌 18위)와 중추신경계 질병치료 신약개발을 위한 공동개발이 진행 중이며, 긍정적인 결과로 인해 현재 진행중인 단백질기반의 신약개발 외에 추가로 세포투과성 핵산치료제의 개발을 위한 새로운 제안도 받았다. 이와 관련해 다케다 제약 연구소에서 구체적인 협상이 예정되어 있으며, 지속적인 협약을 통해 TSDT 플랫폼기술의 사업영역을 확장할 것”이라고 기대를 나타냈다. 또 “존슨앤존슨(글로벌 6위)의 초청으로 미국 필라델피아 R&D센터에서 미팅을 가졌고, 현재 TSDT 플랫폼기술 라이센싱·신약후보물질 라이센싱 그리고 새로운 분야의 신약후보물질 공동개발 등 다각도의 협력 방안을 논의 중에 있다” 라고 말했다.

김성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