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6월부터 1,500만원 이하 취약계층 장기연체 특별감면 실시

최대 90% 감면 후 3년 성실상환하면 잔여채무 면제

연체위기자 신속지원제도 신설…원금 감면율 확대

최종구 금융위원장이 축사하고 있다./연합뉴스최종구 금융위원장이 축사하고 있다./연합뉴스



이르면 6월부터 1,500만원 이하 채무를 10년 이상 장기연체 중인 취약계층의 경우 3년간 성실 상환하면 잔여채무를 면제해주는 특별감면 프로그램이 도입될 전망이다. 연체위기에 처한 사람을 선제적으로 돕는 신속지원제도도 마련된다.

최종구 금융위원장은 18일 전북 군산의 공설전통시장과 서민금융통합지원센터 등 서민금융 현장을 방문해 이런 내용 등을 담은 개인채무자 신용회복지원제도 개선방안을 내놨다. 금융위는 우선 상환능력이 없는 취약채무자를 대상으로 6~8월 중 특별감면 프로그램을 도입한다. 대상자는 3개월 이상 연체한 기초수급자(생계·의료)·장애인연금 수령자와 70세 이상 고령자이며, 10년 이상 1,500만원 이하 채무를 장기연체한 저소득층도 포함된다. 금융위는 이들 채무에 대해 상각채권은 원금 70~90%를, 미상각채권은 30%를 감면해줄 방침이다. 1,500만원 이하 장기연체자의 경우 채무조정으로 감면된 채무를 3년간 최소 50% 이상 연체 없이 성실 상환할 경우 잔여채무를 모두 면제해주기로 했다.


연체 전부터 연체 30일까지인 사람에게는 연체가 발생해 신용도가 하락하기 전에 선제적으로 위기를 극복할 수 있도록 돕는 연체위기자 신속지원제도를 지원한다. 제도가 도입되면 연체정보 등록이 일시적으로 중단된다. 지원 대상은 일시적 소득 중단·감소가 객관적으로 확인된 다중채무자로, 최근 6개월 이내 실업자나 무급휴직자, 폐업자, 3개월 이상 입원 치료를 해야 하는 환자 등이다. 지원 대상으로 선정되면 6개월간 약정금리대로 이자만 납부하는 상환유예 기간을 두고 이후 추가적인 채무조정에 들어갈지를 결정해 연체 90일 시점에서 개인워크아웃을 신청하거나 10년 장기분할 상환에 들어갈 계획이다.

관련기사



연체 90일 이상 채무자 중 금융회사가 아직 채권을 상각하지 않은 사람도 최대 30%까지 원금 감면을 허용할 예정이다. 금융회사는 통상 연체 후 6개월에서 1년 정도 지나야 채권회수가 불가능하다고 판단해 장부상 손실로 처리하는데, 지금은 금융회사가 상각처리하지 않으면 원금 감면이 안 돼 개인 워크아웃에 들어가도 상각 전까지는 이자 면제나 장기 분할상환 등만 가능한 상황이다. 금융위는 미상각 채무라도 채무과중 정도에 따라 최대 30%까지 원금을 감면하고 대신 금융회사들이 원금 감면분에 대한 세법상 손비를 인정받을 수 있도록 기획재정부와 협의할 방침이다. 단 고의적 연체를 막고자 채무조정 신청일 1년 이내 대출은 적용 대상에서 제외된다.

상각된 채무의 원금 감면율은 30∼60%에서 20∼70%로 늘어난다. 더 갚을 수 있는 사람은 더 갚고, 그렇지 않은 사람은 덜 갚도록 하기 위해서다. 채무감면율을 산정할 때 연체 기간이나 소득 안정성 등 상환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이 반영되도록 채무감면율 산정체계도 개편된다.

금융당국은 기존 개인워크아웃제도를 개선하는 채무감면율 상향 및 감면율 산정체계 개편 등 과제는 3~4월 중 시행하기로 했다. 또 신속지원제도와 특별감면 프로그램은 6~8월 중 시행하고 미상각채무 원금감면은 기재부와 협의 후 시행시점을 정할 것으로 보인다.
/이다원 인턴기자 dwlee618@sedaily.com

이다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