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美 “비핵화 신속하고 큼직하게 나아가야…‘WMD 동결’ 우선순위”

美당국자 브리핑…핵·미사일 동결, 실무협상 의제 포함될 듯

“北 올바른 선택시 모든 인센티브…주한미군 철수는 회담 의제 아냐”

북미가 2차 북미정상회담을 위한 ‘하노이 실무협상’에 착수한 가운데 미국 행정부 고위 관계자가 북한 비핵화에 대해 “매우 신속하고 큼직하게(big bites) 움직여야 한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특히 북한의 핵·미사일 등 대량살상무기(WMD)를 동결하는 문제를 우선순위 의제의 하나로 언급하며 북미 실무협상 테이블 위에 오를 가능성을 시사해 주목된다.


북미 협상에 정통한 미 정부 고위당국자는 21일(현지시간) 2차 북미정상회담 관련 전화브리핑에서 미국 측 실무협상 책임자인 스티븐 비건 대북특별대표가 지난달 스탠퍼드 대학 강연에서 ‘동시적·병행적 조치’를 언급한 것에 대해 “단계적인 프로세스를 말한 것이 아니다”라고 설명하며 이같이 밝혔다. 이 당국자는 “우리는 매우 신속하고 큼직하게 움직일 필요가 있다”며 “우리는 그(비핵화) 과정의 핵심 동인으로서 점진적인 조치를 원하는 게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이는 하노이에서 진행 중인 실무협상에서 비핵화의 실질적 진전이라고 볼만한 구체적이고 ‘덩치가 큰’ 비핵화 실행조치를 내놓으라는 주문으로 해석된다.

관련기사



그는 “비핵화는 싱가포르 회담에서 양측이 합의한 것이며, 트럼프 대통령이 이번 정상회담을 통해 달성하고자 하는 가장 중요한 목표”라고 덧붙였다. 이 관계자는 그러면서 “북한은 지금 올바른 선택을 해야 하는 어떤 지점에 있고 우리는 그들이 그렇게 할 모든 인센티브를 주고 있다”며 비핵화 대가로 경제발전 등 인센티브를 제공할 의사도 거듭 밝혔다.

그는 미국의 대북제재에 대해서도 “북한이 스스로 비핵화를 진전시키는 올바른 선택을 하게끔 하는 유인책”이라고 말했다.

럼프 행정부는 비핵화 실행조치에 대한 미국의 상응 조치와 관련해 일각에서 우려하는 주한미군 철수 문제는 협상 대상이 아니며 전혀 논의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트럼프 대통령이 공식적으로 전쟁을 끝낼 평화협정을 위해 미군을 철수할 용의가 있느냐’는 질문에 “(북미) 실무협상에서 전혀 논의된 바 없다”고 말했다. 함께 브리핑에 나선 다른 고위 인사도 “주한미군 철수는 협상 의제가 아니다”라고 강하게 부인했다.


이현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