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한국 여성 10명 중 4명은 저임금…OECD 1위 '불명예'

4년 연속 개선 추세지만 최고…일·가정 양립 어렵고 ‘경단녀’ 많아

그 비중이 서서히 줄어들고 있다고 해도, 한국 여성 10명 중 4명은 저임금 노동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가운데 저임금 노동 여성 비중은 한국이 여전히 1위였다./이미지투데이그 비중이 서서히 줄어들고 있다고 해도, 한국 여성 10명 중 4명은 저임금 노동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가운데 저임금 노동 여성 비중은 한국이 여전히 1위였다./이미지투데이



한국 여성 10명 중 4명은 여전히 저임금 노동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가운데 저임금 노동 여성 비중은 한국이 1위였다.

25일 OECD에 따르면 한국의 저임금 여성 노동자 비율은 2017년 35.3%로 2017년 통계가 있는 8개국 중 가장 높았다. 2위인 미국(29.07%)보다도 6.23%포인트 많아 격차를 벌렸다. 더 많은 국가와 비교하기 위해 2016년 기준으로 봐도 한국은 37.2%로 23개국 중 1위였다. 2위인 이스라엘(30.42%)과도 7%포인트 가까운 차이가 났다. 한편 최하위권인 핀란드(9.63%), 이탈리아(9.07%), 벨기에(5.40%)는 저임금 노동을 하는 여성 비중이 한 자릿수에 불과했다.


OECD 평균은 20.01%로 한국보다 17.19%포인트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OECD는 중위임금(전체 노동자의 임금을 한 줄로 나열했을 때 정 가운데 있는 임금)의 ⅔를 받지 못하는 경우 저임금이라고 평가한다. 한국의 저임금 여성 노동자 비율은 꾸준히 개선되고 있다. 저임금 여성 노동자 비율은 2000년 45.77%에서 서서히 줄어들어 2011년(38.21%) 40% 밑으로 떨어졌다. 2014년부터 2017년까지 4년 연속 하락세를 보이고도 있다.

관련기사



그러나 애초 여성 저임금 비중 자체가 높았던 터라 2000년대 내내 OECD 부동의 1위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여성 저임금 노동자 비율이 높은 것은 출산, 육아 때문에 경력이 단절된 여성이 많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연령대별 여성 경제활동 참가율을 보면 결혼, 출산 등이 많은 30대 중후반에서 뚝 떨어지다가 다시 상승하는 ‘M’자 형태를 그리고 있다. 직장 대신 집에서 보내는 시간이 길어지며 여성 임금 증가율이 둔화하고 심지어 이전 직장으로 돌아가지 못하는 경우가 빈번하다는 의미다. 지난해 한은은 ‘주요국의 여성 경제활동 참여 증가 배경 및 시사점’이라는 보고서에서 “OECD는 최근 한국이 일·가정 양립 제도를 정비해나가고 있으나 장시간 근로, 출산 여성에 대한 불이익 등으로 효과가 제한적이라고 평가했다”며 “향후 보육 지원 제도 확충, 육아휴직 활용 제고 등으로 여성 노동 시장의 양적·질적 성장을 도모해야 할 것”이라고 분석하기도 했다.

여성 저임금 노동자 비율이 높다 보니 전체 저임금 노동자 비율은 2017년 22.3%로 미국(24.5%) 다음으로 높았다. 2016년에도 23.5%로 미국(24.91%)에 이어 24개국 가운데 2위였다. 반면 남성 저임금 노동자 비율은 중위권 수준이다. 한국 남성 저임금 노동자 비율은 2017년 14.3%로 OECD 8개국 중 5번째로 높았고, 2016년엔 15.3%로 24개국 중 9위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다원 인턴기자 dwlee618@sedaily.com

이다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