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지난해 국내 친환경차 판매량 10만대 넘었다"

한국자동차산업協, '2018년 車 신규등록 현황분석'

수소차 전년比 780% 급증

국내 친환경차 점유율 8.2%…서유럽·美 추월

국내 경차 비중 10%대…시장 점유율 지속 하락

현대자동차의 수소전기차 넥쏘현대자동차의 수소전기차 넥쏘



국내 친환경 자동차 연간 판매량이 지난해 10만대를 돌파했다. 수소전기차는 전년대비 780%의 높은 판매 증가세를 보였다.

한국자동차산업협회은 3일 ‘2018년 자동차 신규등록 현황 분석’ 보고서를 통해 하이브리드 및 순수전기차, 수소전기차를 포함한 국내 친환경 자동차 판매량이 지난해 12만4,979대를 기록해 전년대비 26.2% 증가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국내 친환경차의 승용차시장 점유율은 2015년 2.8% 수준에서 2018년 8.2%로 늘어나 서유럽(6.6%)과 미국(3.9%)을 앞지르게 됐다.


친환경차 종류별로는 수소전기차의 판매 증가율이 가장 높았다. 수소전기차는 전용 모델인 현대 넥쏘를 중심으로 전년비 780% 이상 증가한 731대(버스 2대 포함)가 판매되며 정부 보급목표(659대)를 넘어서며 급성장했다.



전기차는 신규 모델 출시, 정부 구매보조금 및 세금감면 규모 확대로 전년비 110% 이상 증가하며 연간 판매가 3만대를 넘어섰다.

또 하이브리드차는 친환경차 시장의 양적 성장을 주도했다. 휘발유 가격 인상과 고급화된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높은 만족도가 높아지면서 그랜저, K7 등 대형세단 모델 위주로 판매량이 증가해 전년대비 10% 늘어난 9만3,094대를 기록했다.

한편 국내 경·소형 승용차(모든 연료 포함)는 지난해 전년 대비 10.7% 감소한 152,757대가 판매됐다. 경·소형차의 판매 비중도 지난해 10%에 그쳐 35~40%가량인 서유럽과 일본보다 현저히 낮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협회는 과거 연간 20만대 규모였던 경·소형차 시장은 지속적 임금인상 등으로 생산원가가 상승하면서 원가 회수가 어려워짐에 따라 출시모델이 축소됐으며 소비자의 중·대형차 선호 등 수요 이동으로 시장 규모가 지속해서 위축된 것으로 분석했다.

한국자동차산업협회 관계자는 “최근 수소차, 전기차 등 친환경차 판 매가 급성장함에 따라 충전소 인프라 확충과 제도 개선 등이 시급하다”며 “특히 정부가 올해 발표한 수소 경제 활성화 로드맵이 차질없이 추진될 필요가 있으며, 연구개발(R&D) 투자가 확대될 수 있도록 정부 지원이 강화돼야 한다”고 말했다.


박성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