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경기도교육청, 특성화고 직업교육…'3 + 2 지역대학연계 직업교육' 추진

3년의 직업교육 한계를 3+2 연계교육으로 산업체가 요구하는 숙련 기능 양성

경기도교육청은 4차 산업혁명 시대에 필요한 기초역량과 전문기술교육을 강화하기 위해 ‘3+2 지역 대학연계 직업교육 정책’을 추진한다고 6일 밝혔다.

‘3+2 지역 대학연계 직업교육 정책’은 특성화고의 3년 직업교육 이후 2년의 연계교육과정을 통해 산업체가 요구하는 숙련된 기능·기술인을 양성하는 새로운 직업교육 정책이다.

이번에 추진하는 정책은 △특성화고 + 전문학교 △특성화고 + 전문대학 △특성화고(도제교육 2년 포함) + 기업체 근무 △특성화고(교육협동조합 2년 포함) + 연계창업으로 4개 모델이다.


‘특성화고 + 전문학교’ 모델은 선발된 농업계고 학생들이 졸업 후 여주농업경영전문학교에 무시험전형으로 입학해 총 5년의 연계교육과정을 운영한다. 이는 입시부담 없이 학업에만 열중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학습 내용의 누락이나 중복없이 학습한 후 진학·취업·승계 농·창업으로 자연스럽게 연결되는 교육과정이다.

관련기사



‘특성화고 + 전문대학’ 모델은 정부부처와 관련 기관의 협력체계 및 거버넌스 구축을 유도하고, 지자체 차원에서 직업교육 활성화를 위한 협의회를 운영해 논의하고 추진한다.

‘특성화고(도제교육 2년 포함) + 기업체 근무’ 모델은 특성화고 졸업 후, 기업체에 근무하면서 전문대학(2년)의 일 학습병행 직업교육과정을 이수하여 학점을 이수할 수 있다.

‘특성화고(교육협동조합 2년 포함) + 연계창업’ 모델은 재학 중 창업분야 도제식 교육을 진행하고, 졸업 후 교육협동조합에서 창업을 준비하고 실제 창업할 수 있도록 초기 정착을 지원하고 유도하는 모델이다. 도 교육청은 이번 정책을 통해서 일·경험·학력·자격이 상호 연계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황윤규 경기도교육청 미래교육정책과장은 “진학과 취업 연계를 통해 불필요한 스펙 쌓기를 예방하고 기회비용 감소에 이바지하는 정책이 되도록 추진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수원=윤종열기자 yjyun@sedaily.com

윤종열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