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경제·마켓

美 특혜관세 중단에 印, 미국산에 추가관세 '맞불' 검토

美 “인도가 미국의 합리적 시장 접근을 보장하지 않다”며 특혜 중단 선언

/연합뉴스/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일반특별관세제도(GSP) 중단 공격에 인도 정부가 반격을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7일 이코노믹타임스 등 인도 현지 매체는 “인도 정부가 미국이 인도에 대한 GSP 지위 중단에 맞서 미국산 29개 품목에 추가 관세를 부가할 수 있다”고 보도했다. 만약 관세 보복이 실현될 경우 다음달 1일부터 월넛, 렌틸콩, 붕산, 진단 시약 등 미국산 29개 품목에 고율의 관세가 부과된다. 특히 미국산 월넛의 경우 관세가 4배 증가해 120%까지 상승하고 렌틸콩 관세 또한 기존 30%에서 40%로 올라갈 전망이다.

관련기사



인도의 ‘관세보복 카드’ 논의는 지난해부터 이어졌다. 미국은 지난해 초 수입 철강과 알류미늄 제품에 대해 관세 폭탄을 매겼고 인도 정부는 지난해 6월부터 29개 품목 관세부과를 추진해왔다. 하지만 인도는 그간 미국의 요청을 수용해 관련 보복관세 부과조치를 6차례 미뤄왔다. 이번에는 유예 기간이 만료되는 4월 1일부터 추가 과세를 매길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인도 정부 관계자에 따르면 아직 관세 부과조치는 시행 대기 중이며, 인도 정부는 4월 1일까지 미국의 반응을 살펴본 후 최종적으로 결정할 예정이다. 더불어 인도는 세계무역기구(WTO)에 문제를 제소하는 방안도 검토 중인 것으로 밝혀졌다.

앞서 미국은 1970년대 GSP를 도입한 후 120개국에서 특정 상품을 수입할 때 무관세 등의 혜택을 부여해왔다. 하지만 최근 트럼프 대통령은 “인도가 미국에 공정하고 합리적인 시장 접근을 보장하고 있지 않다”며 관련 특혜 중단을 선언했다. 그는 특히 인도가 할리 데이비드슨에 100%관세를, 위스키에 150%관세를 매긴다고 지적했다. 뿐만 아니라 미국은 인도가 최근 전자상거래 규제를 강화하는 것을 비판했다. 인도는 얼마 전 아마존, 월마트 등 글로벌 유통업체들을 대상으로 데이터센터 현지 구축, 관계사의 제품 및 독점 상품판매금지 등을 시행하기로 결정했다.

다만 인도 정부는 이번 미국의 조치가 인도 제품의 수출에 치명적인 영향을 주진 않을 것이란 입장이라 관세 보복이 아닌 타협 또한 문제 해결방안으로 거론되고 있다. 인도는 2017년 미국에 56억 달러 규모를 무관세로 수출했고 지난해에는 486억 달러 어치를 수출, 210억 달러 규모의 흑자를 올렸다. 이코노믹타임스는 인도 정부는 미국산 원유와 가스를 더 수입해 대미 흑자를 줄이는 방안도 고려하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신현주 인턴기자 apple2609@sedaily.com

신현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