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기업銀 사외이사에 신충식·김세직...노동이사제 불발

사측 추천 인사 최종 선임

올해 노동이사제 도입 '찬물'

김세직 신임 사외이사/사진제공=기업은행김세직 신임 사외이사/사진제공=기업은행




신충식 신임 사외이사/사진제공=기업은행신충식 신임 사외이사/사진제공=기업은행


기업은행이 신임 사외이사를 선임하면서 기업은행 노조의 노동이사제 추진이 불발됐다.

기업은행은 27일 신충식 전 농협금융지주 회장과 김세직 서울대학교 교수를 사외이사로 선임했다고 밝혔다.


신 전 회장은 2012년 농협은행 출범 때 초대 농협금융지주 회장 겸 농협은행장을 맡아 ‘신·경 분리’가 안정적으로 자리를 잡는 데 능력을 발휘한 것으로 평가됐다. 김 교수는 국제통화기금(IMF)에서 14년간 거시경제를 연구하고 금융정책을 개발하는 등 학문적 업적과 실무 경험을 보유했다는 것이 기업은행 측 설명이다.

관련기사



사측이 추천한 사외이사가 최종 선임되면서 기업은행 노조가 추진해온 노동이사제는 불발됐다. 지난달 말 노조는 박창완 금융위원회 금융발전심의위원을 사외이사로 추천했다. 하지만 기업은행 지배구조 내부규범에 따르면 이사회 운영위에서 사외이사 후보를 사측에 추천하면 은행장이 이를 금융위원회에 제청해 임명하도록 돼 있다. 노조가 추천한 사외이사를 선임해야 할 제도적인 근거가 없는 것이다.

이에 따라 올해도 금융권의 노동이사제 도입이 물 건너가는 것이 아니냐는 전망이 나온다. 지난달 KB금융 노조는 백승헌 변호사를 사외이사 후보로 추천하려다 자진 철회했다. 백 변호사가 소속된 법무법인 지향에서 KB금융의 계열사인 KB손해보험에 법률자문·소송을 수행한 사실이 있어 이해 상충 문제가 불거져서다. 산업은행 노조도 사외이사 추천을 추진하고 있지만 같은 국책은행인 기업은행에서 노동이사제 도입이 무산되면서 가능성이 낮아졌다는 관측이다.


김기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