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청주 바이오의료 빅데이터센터 개소

신약개발 비용은 절반으로…기간은 3분의 1로 단축

바이오의료 빅데이터센터 개소식후 오송재단 및 청주시 관계자가 센터 관계자로부터 센터현황에 대해 설명을 듣고 있다. 사진제공=오송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바이오의료 빅데이터센터 개소식후 오송재단 및 청주시 관계자가 센터 관계자로부터 센터현황에 대해 설명을 듣고 있다. 사진제공=오송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청주시와 오송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은 29일 청주시 오송읍 소재 오송재단 신약개발지원센터에 ‘청주 바이오의료 빅데이터센터’의 문을 열었다.

청주시와 오송재단은 오송을 ‘바이오의료 분야 빅데이터 허브’로 조성하기 위해 신약개발지원 과정에서 발생하는 연구 데이터를 축적 및 활용할 수 있는 빅데이터센터를 구축했다.


바이오 신약개발 인공지능 플랫폼 기반자료로 사용될 빅데이터센터의 데이터는 항체 및 단백질 화합물 등 실험기반 신약연구 데이터, 임상 유전체 및 공개 유전체 데이터, 신약 후보물질의 물리·구조·화학적 특성 데이터 등으로 이루어질 예정이다.

이런 데이터들은 바이오 마커(세포나 혈관 단백질, DNA, 대사물질 등으로 몸 안의 변화를 알아낼 수 있는 지표) 발굴 및 검증 단계에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신약이 될 수 있는 후보물질이 유효한지, 그러한 물질을 어떻게 도출하는지 등에 활용될 수 있다.

관련기사



빅데이터센터가 활성화 되면 연구진들은 신약개발 연구를 위한 보다 전문적인 데이터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바이오신약 개발 기업 과 연구기관의 신약 개발 비용은 50%, 기간은 33%까지 단축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길리어드 제약사의 경우 메디데이터 분석을 통해 신약개발에 소요되는 평균 기간을 6~7년 단축시켰고 임상비용을 절반으로 감축한 전례가 있다.

박구선 오송재단 이사장은 “오송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에 둥지를 튼 청주 바이오의료 빅데이터센터가 미래 바이오의료 융합 연구의 데이터 구심점이 될 수 있도록 힘쓰겠다”며 “또 다른 클러스터, 병원, 중앙부처의 데이터 등과 연계를 통해 빅데이터 정보의 양과 질을 보강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청주=박희윤기자 hypark@sedaily.com

박희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