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경제·마켓

차량호출업체 리프트 상장…주당 72달러·총 2.7조 규모

시총기준 역대 IT기업 중 9위

내달 상장할 우버 전초전 성격

공유경제모델 증시 진출 '상징적'

관건은 수익성…지속가능성 우려도

/AP연합뉴스/AP연합뉴스



미국 차량호출업계 2위 리프트의 상장 공모가가 주당 72달러로 책정됐다. 이는 예정가인 주당 62∼68달러를 웃도는 것으로, 총 3,250만주에 대한 거래가 29일(현지시간)부터 기술주 중심 나스닥시장에서 시작된다. 이에 따라 리프트는 이번 공모로 23억 4,000만 달러(약 2조7,000억 원)의 자금을 조달하게 되고, 시가총액은 약 205억 달러(약 23조3,000억 원)에 달할 것으로 보인다.

28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이번 리프트 시가총액은 미국 증시에 기업공개한 시점을 기준으로 역대 IT 기업 중 9위에 해당한다. 1위는 알리바바(1,690억 달러), 2위는 페이스북(810억 달러)이었다. 미 CNN 방송은 “당초 제안된 공모가보다 더 높게 공모가가 결정된 것은 리프트는 물론 적자를 내고 있는 다른 정보기술(IT) 스타트업들에 대한 투자자 수요가 강하다는 것을 시사한다”고 지적했다.


리프트는 한때 라이벌이자 차량호출 업계 1위인 우버의 공격적인 경영 정책에 밀려 고사할 것이란 우려를 극복하고 마침내 상장의 관문을 넘게 됐다. 리프트의 기업공개는 조만간 있을 우버의 상장에 대한 전초전 성격도 띠고 있다. 시장이 이들 스타트업에 얼마나 호응을 보일지를 가늠할 시험대라는 것이다.



올해 월가에는 몇 년 만에 이른바 ‘유니콘’으로 불리는 기업가치 1조 원 규모의 스타트업들이 대거 쏟아져 나올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내달 상장되는 우버의 경우 기업가치가 최대 1,200억 달러(약 136조2,000억 원)에 달할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또 여기에 보태 사무용 메신저 업체 슬랙과 이미지 공유업체 핀터레스트, 식료품 배달업체 포스트메이츠 등도 줄줄이 올해 중 기업공개에 나설 예정이다.

이재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