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주머니 속 현금 보유, 11만→7만원대로 뚝

결제 비중, 카드52%·현금32%

신용카드와 모바일 결제가 활성화되면서 한국 사람들이 호주머니에 넣고 다니는 돈이 10만원 밑으로 떨어졌다.

16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18년 경제주체별 현금사용행태 조사’를 보면 지난해 기준 가계의 ‘거래용 현금’(지폐) 보유액은 평균 7만8,000원으로 2015년(11만6,000원)보다 3만8,000원(33%) 줄었다. 거래용 현금은 설문조사 응답자가 지갑이나 주머니에 소지한 현금을 가리킨다. 연령별로는 20대의 거래용 보유액이 5만4,000원으로 가장 적었고, 30대(6만7,000원), 60대 이상(6만7,000원), 40대(9만1,000원), 50대(10만5,000원) 순으로 많아졌다.


현금이 가계 지출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32.1%로 신용·체크카드(52.0%)보다 적었다. 2015년 조사에서는 현금(38.8%)과 신용·체크카드(37.4%) 비중이 비슷했지만 불과 3년만에 카드가 현금을 제낀 것이다. 용도별 현금지출액을 보면 상품 및 서비스 구입이 61.8%이었고, 사적 이전지출·경조금 등 개인 간 거래가 37.6%를 차지했다. 현금으로 상품 및 서비스를 구매하는 장소별 비중은 전통시장(40.2%), 슈퍼마켓(24.4%), 편의점(10.3%) 순이었다.

관련기사



또 조사 대상 가계의 가계의 23.3%는 비상시를 대비해 집이나 사무실에 현금을 보유하고 있다고 응답했다. 평균 보유 규모는 54만3,000원으로 3년전 69만3,000원보다 줄었다. 소득별 현금 보유액은 월 소득 100만원 미만 가계는 평균 20만5,000원, 월 소득 500만원 이상 가계는 평균 78만9,000원이었다. 5만원권의 경우 설문대상 가계의 89.2%가 최근 1년간 5만원권을 사용했고, 월평균 4.6회 이용한 것으로 조사됐다.

현금 없는 사회가 실현될 수 있을지에 대해서는 35.4%는 ‘중장기적으로 있다’ 고 했고 15.9%는 ‘단기간 내 있다‘고 답했다. 절반 이상이 현금없는 사회가 올 것으로 내다본 것이다. ’낮거나 없다‘는 응답은 48.7%였다. 한은 관계자는 “설문조사 특성상 보유현금 정보를 실제보다 줄여 응답했을 가능성이 있어 정확한 현금 보유액을 파악하기엔 한계가 있다”고 말했다.


김능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