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18년 경제주체별 현금사용행태 조사’를 보면 지난해 기준 가계의 ‘거래용 현금’(지폐) 보유액은 평균 7만8,000원으로 2015년(11만6,000원)보다 3만8,000원(33%) 줄었다. 거래용 현금은 설문조사 응답자가 지갑이나 주머니에 소지한 현금을 가리킨다. 연령별로는 20대의 거래용 보유액이 5만4,000원으로 가장 적었고, 30대(6만7,000원), 60대 이상(6만7,000원), 40대(9만1,000원), 50대(10만5,000원) 순으로 많아졌다.
현금이 가계 지출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32.1%로 신용·체크카드(52.0%)보다 적었다. 2015년 조사에서는 현금(38.8%)과 신용·체크카드(37.4%) 비중이 비슷했지만 불과 3년만에 카드가 현금을 제낀 것이다. 용도별 현금지출액을 보면 상품 및 서비스 구입이 61.8%이었고, 사적 이전지출·경조금 등 개인 간 거래가 37.6%를 차지했다. 현금으로 상품 및 서비스를 구매하는 장소별 비중은 전통시장(40.2%), 슈퍼마켓(24.4%), 편의점(10.3%) 순이었다.
또 조사 대상 가계의 가계의 23.3%는 비상시를 대비해 집이나 사무실에 현금을 보유하고 있다고 응답했다. 평균 보유 규모는 54만3,000원으로 3년전 69만3,000원보다 줄었다. 소득별 현금 보유액은 월 소득 100만원 미만 가계는 평균 20만5,000원, 월 소득 500만원 이상 가계는 평균 78만9,000원이었다. 5만원권의 경우 설문대상 가계의 89.2%가 최근 1년간 5만원권을 사용했고, 월평균 4.6회 이용한 것으로 조사됐다.
현금 없는 사회가 실현될 수 있을지에 대해서는 35.4%는 ‘중장기적으로 있다’ 고 했고 15.9%는 ‘단기간 내 있다‘고 답했다. 절반 이상이 현금없는 사회가 올 것으로 내다본 것이다. ’낮거나 없다‘는 응답은 48.7%였다. 한은 관계자는 “설문조사 특성상 보유현금 정보를 실제보다 줄여 응답했을 가능성이 있어 정확한 현금 보유액을 파악하기엔 한계가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