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재테크

미래에셋운용서 인수 美社, 나스닥에 ETF 상장·거래

美 클라우드 컴퓨팅 관련기업 투자




미래에셋자산운용이 지난해 인수한 미국 상장지수펀드(ETF) 운용사 글로벌X가 나스닥에 클라우드 컴퓨팅 관련 기업에 투자하는 ETF를 상장했다.

17일 미래에셋자산운용에 따르면 글로벌X가 16일(현지시간) 나스닥에 ‘글로벌X 클라우드 컴퓨팅 ETF(티커 ‘CLOU’)’를 상장해 첫 거래가 이뤄졌다. 클라우드 서버, 스토리지, 데이터베이스, 네트워킹, 소프트웨어 등 클라우드 컴퓨팅 관련 매출이 전체 매출의 절반이 넘는 회사를 위주로 지수를 구성해 이를 추종하는 방식이다. 부품 생산업체를 비롯해 데이터센터로 사용되는 건물의 리츠(REITs)도 이 지수에 포함된다. 클라우드 보안 서비스 업체인 지스케일러, 쇼핑몰 운영 솔루션 업체인 쇼피파이, 페이콤 등이 주요 편입 종목이며 아마존·구글·마이크로소프트 등 퍼블릭 클라우드 매출 규모가 큰 회사도 투자 대상이다. 이 ETF는 현재 36개 종목에 투자하고 있으며 국가별 비중은 미국 88.48%, 캐나다 4.78%, 뉴질랜드 3.93%, 중국 2.83%로 구성된다. 지난 2013년 11월 지수 산출일부터 이달 12일까지 누적 수익률은 277%로 연 환산 수익률도 27%가 넘는다.


루이스 베루가 글로벌X 최고경영자(CEO)는 “투자자들은 CLOU ETF를 통해 급격한 성장이 예상되는 클라우드 컴퓨팅 관련 기업에 손쉽게 투자할 수 있다”고 말했다. 클라우드 컴퓨팅 시장 규모는 매년 14.6%의 성장세를 보여 오는 2022년에는 3,230억달러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CLOU ETF는 미래에셋대우 등 해외주식 거래가 가능한 증권사를 통해 국내에서도 투자할 수 있다.

관련기사



한편 미래에셋자산운용은 최근 해외 운용사들을 적극적으로 인수해왔으며 글로벌X도 그중 하나다. 2008년 설립된 글로벌X는 대표적으로 로봇 및 인공지능(A) 종목에 투자하는 BOTZ ETF와 같이 정보기술(IT) 관련 ETF에 특화된 운용사다. 현재 BOTZ ETF의 운용자산만 2조원이 넘는다. 미래에셋운용이 글로벌X를 인수한 후 추가로 8개의 ETF를 상장해 현재 69개, 운용자산 11조원대의 ETF를 운용하고 있다.

이외에도 미래에셋은 Horizons(캐나다·홍콩·콜롬비아), TIGER(한국), BetaShares(호주) 등 340여개 ETF를 운용 중이다. 3월 말 기준 미래에셋 글로벌 ETF는 전 세계 운용사 중 순자산 규모 18위다.


이혜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