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국내증시

200조 퇴직연금 '수수방관'…깜깜한 노후

도입 15년 '양적 성장' 했지만

운용 수익률 낮아 연금부채 급증

도입 15년 만에 퇴직연금이 약 200조원까지 늘었지만 기업·근로자·금융사 모두 운용을 방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근로자 상당수가 자신의 퇴직연금 유형조차 제대로 인지하지 못하는 가운데 기업과 금융사도 정보제공을 게을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퇴직연금의 60% 이상을 차지하는 확정급여형(DB형)은 기업들이 원금보장에 치중하다 보니 저금리 기조 속에 퇴직연금 부채 부담이 갈수록 늘고 있다.28일 본지가 직장인 326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응답자의 45.2%가 본인의 퇴직연금 유형을 모른다고 응답했다. 회사나 금융사로부터 퇴직연금 관련 상담이나 교육을 받은 적이 있느냐는 질문에는 ‘기억나지 않거나 한 번도 없다’고 대답한 이가 56%에 달했다. 정기적으로 상담·교육을 받고 있다는 직장인은 9.8%에 불과했다. 운용 수익률도 불만이었다. 직접 운용하는 확정기여형(DC형)의 경우 수익률에 만족한다는 응답이 7.1%에 불과했다.


한편 DB형을 도입한 기업은 저조한 운용수익률로 연금 부채가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는 우려가 제기됐다. 최소한 임금상승률만큼은 운용수익이 나야 퇴직부채에 대한 기업들의 추가 부담이 없다. 그러나 지난해 DB형 수익률은 1.46%로 임금상승률인 5.3%에도 크게 못 미쳤다. 남재우 자본시장연구원 연구위원은 “퇴직연금제도가 적립액과 가입자 등 양적으로는 성장했지만 낮은 수익률이라는 고질적 문제는 전혀 개선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관련기사



/이혜진·이완기기자 hasim@sedaily.com

이혜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