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증권정보

[특징주] “목표주가 80,000원”합성신약의 잠재력이 빛나는 바이오株

▶▶ [무료] “치사율 97%” 3조규모 췌장암치료제 상용화 “이 기업” 확인 (클릭)

동사는 합성신약 및 ADC(항체-약물 결합체) 분야에서 R&D 경쟁력을 보유한 제약ㆍ바이오텍이다. LegoChemistry(신약후보물질발굴)와 ConjuALL(차세대 ADC 원천기술) 2개 차별화된 핵심 기반기술을 통해 항생제ㆍ항응혈제ㆍ항성유화제 등 합성신약과 ADC 파이프라인을 다양하게 확보했고, 다수의 기술수출 성과 도출 및 공동 연구개발도 진행 중이다.

▶▶ [무료] “대규모 L/O 체결 임박” 단독공개 바이오株 (클릭)


지난 3월 TAKEDA 자회사 밀레니엄에 ADC링커 플랫폼에 대한 기술이전(3가지 타깃 대상/총 계약규모 약 4,550억원) 계약을 체결해 선수금 일부를 수령했고, 과거 中 푸싱제약에 L/O한 LCB14(Her2-ADC) 임상 1상 진입에 따른 마일스톤 유입으로 분기 흑자전환에 성 공했다. 동사 ConjuALL은 1세대 ADC 단점인 단일물질 제조 및 링커 안정성을 개선한 2세대 ADC 원천기술로써 항체에 자체개발 PBD 톡신을 부착하는 링커기술을 통해서도 다수 물질이전계약(MTA)을 체결한 바 있다. 이와 같은 래퍼런스는 동사 플랫폼의 상업화 가능성이 높다는 방증이며, 동시에 향후 파트너링 강화와 추가 기술이전 가능성을 높이는 요인이다.

관련기사



▶▶ [무료] “3세대 신약” 면역항암제 글로벌 리더 단독공개 (클릭)

합성신약 파이프라인도 임상 진전에 따른 밸류에이션 상승이 기대된다. 슈퍼박테리아치료제 Delpazolid(LCB01-0371/그람양성균)의 국내 2a상이 완료되면 임상 데이터를 바탕으로 글로벌 2b상을 진행할 계획이다. 동 적응증은 FDA 희귀의약품 및 Fast Track 지정으로 조기 상업화가 가능하다. 브릿지바이오와 파이너링을 통해 항섬유화제(ATX억제제)로 개발 중인 BBT-877/LCB17-0877은 미국 임상 1상 중으로 Unmet Needs 높은 NASH(비알콜성지 방간염)를 비롯한 여러 신체조직의 섬유증으로 적응증 확장이 가능한 잠재력이 큰 파이프라인이기 때문에 기술이전 기회도 많아질 것으로 판단한다.

▶▶ [무료] “FDA 승인” 글로벌 임상 3상 완료 제약株 (클릭)

▶▶ [무료] “핵심 파이프라인 보유” 신약 플랫폼 보유기업 TOP 5 무료확인 (클릭)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