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교도소 작업도 ‘하루 최대 8시간’…법무부, 수형자 인권 보호 나서

법조계 "형벌은 헌법적 의미의 근로와는 구분"

/연합뉴스/연합뉴스



교도소 수형자에게도 인권 보호를 위해 ‘하루 최대 8시간 근로’ 원칙이 적용될 것으로 보인다. 수형자에게 의무적으로 부과되는 노역에도 사실상 ‘근로조건 법정주의’를 도입하는 것이다.


법무부는 31일 교도소 수형자의 최대 작업시간 제한을 골자로 하는 형의 집행 및 수용자의 처우에 관한 법률(형 집행법) 개정안을 입법 예고했다. 개정안은 하루 작업시간을 8시간 이내에서 법무부 장관이 정할 수 있으며 취사·청소·간호 등 작업 특성상 불가피한 경우에도 작업시간을 4시간 넘게 연장하지 못하도록 하는 내용을 포함했다.

관련기사



헌법에 따르면 근로조건의 기준은 인간의 존엄성을 보장하도록 법률로 정한다. 이에 따라 근로기준법도 1일 근로시간을 8시간, 주당 근로시간은 40시간을 넘지 않도록 했다.

하지만 현행 형 집행법은 ‘공휴일과 토요일 등 휴일에는 작업하지 않는다’고만 규정할 뿐 평일 작업시간에 대한 제한은 없다. 이에 대해 법조계는 “교도소 작업은 형벌로서 징역형에 부과되는 의무이자 교화활동의 일환인 만큼 단결권과 단체교섭권 등 권리가 보장되는 헌법적 의미의 근로와 구분된다”고 해석하고 있다. 법무부는 “작업시간이 과도할 경우 신체의 자유 및 건강권이 침해되고 인간의 존엄성을 훼손당할 위험성이 있다는 점에서 근로와 유사한 측면이 있다”며 “최대 작업시간을 법률에 규정해 수형자의 인권을 더욱 두텁게 보호하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신현주 인턴기자 apple2609@sedaily.com

신현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