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흡연자 사망률 1.6배, 생존기간은 8년 짧아




흡연자의 사망률은 비흡연자보다 1.6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생존기간(60세 남성 기준)도 8년이나 짧았다.


보험개발원은 31일 세계 금연의 날을 맞아 지난 2011년부터 2017년까지 생명보험사 정액·실손의료보험 자료를 분석한 결과 흡연자의 사망률이 비흡연자 대비 1.6배, 질병으로 인한 입원율은 1.5배 높게 나타났다고 밝혔다. 연령별로는 50대의 사망위험도가 1.8배로 가장 높았다. 또 50세 남성을 기준으로 흡연자가 질병으로 수술할 확률, 암으로 입원할 확률도 약 1.3배씩 높았다.

관련기사



흡연자의 실손의료보험 지급보험금이 높은 질환은 소화기관의 악성신생물(8.1%), 뇌혈관질환(6.2%), 식도·위·십이지장의 질환(4.0%) 순이었다. 허혈성심장질환과 간질환은 비흡연자에 대한 보험금 지급비중 순위가 각각 24위, 25위로 낮았지만 흡연자

이밖에 흡연자의 잔여 생존기간(남자 60세 기준)은 18.7년으로 비흡연자(26.6년)보다 약 8년 짧은 것으로 집계됐다. 강호 보험개발원 원장은 “흡연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이 크고 상대적 위험도의 뚜렷한 차이를 감안하면 금연에 대한 사회적인 인식 재정립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유주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