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옛 제일銀 사옥에 상업사박물관 들어선다

신세계 "구체적 계획은 확정 안돼"

인근 은행사박물관 등과 더불어

금융·상업 박물관벨트 형성 기대

신세계가 ‘상업사박물관’을 설립할 예정인 서울 중구 옛 제일은행 본점 전경. /권욱기자신세계가 ‘상업사박물관’을 설립할 예정인 서울 중구 옛 제일은행 본점 전경. /권욱기자



서울시 중구 충무로 신세계백화점 본점 옆에 위치한 옛 제일은행 본점에 ‘신세계 상업사박물관’이 들어설 예정이다.


5일 신세계 관계자는 “상업과 유통을 다루는 회사 성격에 맞게 옛 제일은행 본점을 상업사박물관으로 활용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며 “일부 공간을 박물관으로 사용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지만 개관 시점 등 구체적인 계획은 확정되지 않았다”고 말했다. 또 이 지역이 근대기 상업화의 풍경과 식민 치하 자본주의 변천사를 간직했다는 점에서 박물관이 다룰 ‘상업사’의 범위도 규정되지 않았다.

관련기사



상업사박물관이 신세계 구상대로 들어설 경우 이 일대가 100년 전 근대 상업의 중심이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학계 관계자는 “옛 제일은행 건물과 한국은행 주변은 근대 자본주의 심장부”이라고 설명했다. 서울시 유형문화재 제71호인 옛 제일은행 본점은 지난 1935년 11월 제일은행 전신인 조선저축은행 본점으로 처음 문을 열었다. 지하 1층·지상 5층 규모의 네오바로크 양식의 건물로, 일본인 건축가 히라바야시 긴코(平林金吾)가 설계했다. 국내 건물 중 최초로 국제 현상설계를 거친, 철골·철근 구조를 사용한 첫 은행 건물이라는 점에서 건축사적 의미도 크다.

신세계는 2015년 옛 제일은행 사옥을 매입했다. 사무실 임대 계약이 최근 종료돼 현재는 비어있다. 도로 건너편에 한국은행 화폐금융박물관, 인근에 우리은행 은행사박물관도 위치해 완공될 경우 서울 도심 한복판에 ‘금융·상업 박물관 벨트’가 형성될 전망이다. 옛 제일은행 본점 바로 앞에는 분수대와 분수광장도 있는데, 이는 미국 뉴욕 맨해튼 9·11 추모공원을 공동 설계한 피터 워커의 피터워커앤드파트너스(PWP)가 신세계와 계약을 맺고 리뉴얼 설계 중이다.

조상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