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멀티뷰에 당겨보기...현장 게임열기 그대로

LCK 서머 개막전 5G 중계

게이머 10명 화면 동시에 시청

4배로 확대해도 화질 생생하게

느리게 보는 슬로우 비디오 기능도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스 코리아’(LCK) 서머 개막전이 열린 5일 서울 종로 롤파크에는 진에어 그린윙스와 kt 롤스터간 첫 대결을 직접 보러 온 게임 팬들로 북새통을 이뤘다. 같은 시간 퇴근길 지하철과 안방까지도 현장의 뜨거운 열기와 생동감이 그대로 전해졌다. 이날부터 SK텔레콤(017670)KT(030200), LG유플러스(032640) 등 이동통신 3사가 일제히 5세대(5G)를 기반으로 다중 화면과 고화질 확대, 느리게 보기 등 첨단 기능을 갖춘 게임 중계를 개시하며 시청자의 몰입감을 극대화해서다. 5G 중계를 처음 접한 직장인 이대영씨는 “게이머 10명 모두의 화면을 동시에 보니 어떤 전술을 펼치는 지 바로 알 수 있었다”며 “보는 게임의 차원이 달라졌다”고 말했다.

5G 게임 중계에서 가장 눈에 띄는 점은 동시에 여러 화면을 볼 수 있는 ‘멀티뷰’로, 이통 3사 모두 제공한다. 5G는 대용량 데이터를 지연 없이 빠르게 전송할 수 있기 때문에 고화질의 게임 중계를 시야별로 송출할 수 있다. SK텔레콤은 국내에서 가장 많은 12개 시점을 보여주는 ‘5GX 멀티뷰’를 서비스한다. 리그 오브 레전드(롤) 게임은 5명 대 5명이 동시에 참여한다. 화면 양쪽 끝에 양팀 선수 5명씩 10개의 분할화면을 배치하고 중앙 상단에는 전체 화면, 중앙 하단에는 게임 정보를 배치했다. SK텔레콤의 한 관계자는 “12개를 동시에 볼 수 있고 시청자의 기호에 따라 좋아하는 한 선수의 시야로도 관람할 수 있어 흥미를 더했다”고 설명했다.

지난 5월 게임 배틀그라운드를 ‘e스포츠라이브’를 통해 5G로 생중계한 데 이어 이번 LCK로 두 번째 중계에 나서는 KT 역시 멀티뷰를 장점으로 내세웠다. KT는 모두 20개의 고화질(풀HD급) 화면 가운데 이용자가 최대 5개의 화면을 선택해 게이머의 시각으로 보도록 서비스한다.


LG유플러스는 지난 4일 서비스를 시작한 ‘U+게임라이브’로 이번 LCK 서머를 중계하는데, 기존 대비 3배 선명한 화질로 10개의 선수별 경기화면 중 시청자가 3개를 선택하는 식이다. LG유플러스는 특히 생중계가 끝난 뒤 주문형비디오(VOD)로 게임방송을 다시 볼 때도 멀티뷰를 제공한다. 이 회사의 관계자는 “VOD로 멀티뷰를 이용하는 것은 ‘U+게임라이브’가 처음”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이통 3사는 멀티뷰 외에도 최신 5G 기술을 게임 중계에 적용했다. SK텔레콤의 ‘핀치 줌’은 화면을 최대 4배까지 확대해도 화질이 전혀 떨어지지 않는 기능이다. 게임 캐릭터의 미세한 움직임을 확인할 수 있고, 스마트폰의 화면이 작아 잘 보이지 않는 정보도 자세히 볼 수 있다. ‘데이터 다이어트 솔루션’을 적용해 데이터 소모량을 최대 40% 줄인 점도 특징이다.

LG유플러스는 놓친 장면이나 빠르게 지나간 장면을 돌려보는 ‘타임머신’과 ‘한타’라고 불리는 중요한 격전의 순간을 느린 속도로 자세히 볼 수 있는 ‘슬로비디오’ 기능을 적용했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롤은 월간 접속자가 1억명에 달하고, 지난봄에 열린 ‘LCK 스프링 2019 파이널’은 국내에서만 약 150만명이 생중계를 시청할 정도로 인기가 높다”며 “5G 시대를 맞아 게임 시청 시장은 계속 확대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오는 8월 18일까지 열리는 이번 LCK 서머 대회에는 △SK텔레콤 T1 △그리핀 △킹존 드래곤X △샌드박스 게이밍 △담원 게이밍 △한화생명 e스포츠 △젠지 이스포츠 △아프리카 프릭스 △kt 롤스터 △진에어 그린윙스 등 10개의 프로팀이 출전해 팀별로 18경기씩 모두 90경기를 치른다. 이번 대회 우승팀은 ‘롤드컵’으로 불리는 ‘롤 월드 챔피언십’의 직행권을 얻는다.


임진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