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성인 10명 중 7명 “동네의원 진료 만족 못해”

우리나라 성인 10명 중 7명은 동네의원의 의료 서비스에 만족하지 못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또 동네의원을 찾은 4명 중 1명은 1개월 내에 대형병원을 다시 찾는 것으로 나타났다.

11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지난해 만 19~69세 성인 2,0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보고서에 따르면 동네의원의 의료 서비스가 ‘보통’이라고 응답한 비율이 56.8%였고 ‘불만족’이 12.2%였다. ‘만족’으로 답한 사람은 31.1%에 그쳤다. 10명 중 7명이 동네의원의 진료를 만족하지 못한다는 의미다.


동네의원의 전반적인 의료 서비스가 만족스럽지 않은 이유로는 ‘치료 효과가 좋지 않아서’가 26.6%로 가장 높았다. 이어 ‘질병 진단을 신뢰할 수 없어서’(25.8%), ‘의료진(의사 및 간호사)에 대한 신뢰가 낮아서’(20.1%)가 뒤를 이었다.

관련기사



전체 응답자의 4명 중 1명꼴인 24.7%는 동네의원 이용 후 1개월 내에 같은 질환으로 대학병원이나 상급종합병원 등 대형병원을 이용했다. 대형병원을 다시 찾은 이유로는 ‘보다 전문적인 검사와 치료를 위해’가 47.4%로 가장 많았고 ‘보다 신뢰할 수 있는 검사 결과를 얻기 위해서 본인이 선택 또는 진료의뢰서 요청’(29.0%), ‘상급 종합병원 이용을 위해 동네의원에서 진료의뢰서만 발급’(12.6%) 순으로 나타났다.

동네의원에 주치의를 미리 두는 주치의 제도의 도입에 대해서도 부정적인 의견이 많았다. 동네의원 주치의로부터 먼저 진료를 받은 뒤 상급병원을 가야 하기 때문에 ‘불편할 것’이라는 응답이 57.6%로 가장 많았고 ‘좋을 것’은 17.9%를 기록했다. 의료기관별 의료 서비스의 질에서는 약국이 48.5%로 가장 높았다. 이어 상급종합병원·대학병원(46.2%), 병원·종합병원(40.9%), 동네의원(33.2%) 순으로 나타났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관계자는 “동네의원은 환자 접근성과 의료비 수준에서 다른 의료기관보다 높은 평가를 받았지만 의료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낮았다”며 “대형병원 선호에 따른 불필요한 의료비 지출을 막으려면 동네의원의 의료 서비스에 대한 투자 확충이 필수적”이라고 말했다.


이지성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